72
2020. 12. 17. 모든 것이 예상을 뛰어 넘는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이차전지] 정원석 2122-9203 [email protected]

Underweight EM Equity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Underweight EM Equity

2020. 12. 17.

모든 것이 예상을 뛰어 넘는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이차전지] 정원석 2122-9203 [email protected]

Page 2: Underweight EM Equity

C O N T E N T S

3

5

8

9

23

36

57

58

63

68

Ⅰ. Summary

Ⅱ. Key Chart

Ⅲ. 2021년 이차전지 산업 전망

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3.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Ⅳ. 기업 분석

-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Page 3: Underweight EM Equity

3

• 최근 각국 정부들은 COVID19 사태 이후 경기부양 대책 일환으로 그린뉴딜 기조 강조하며 전기차 시장 확대 위한 지원 정책 전략을 더욱 강화. 10월 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33만대(YoY: +125%, MoM: +3%) 기록하며 고점을 높여가는 중

•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 성장폭 대비 상대적으로 가장 부진한 지역이 미국이라는 점에 주목. 지난 10월 미국 전기차 누적 판매량 YoY 성장률은 +26%로 전세계 평균인 +125% 대비 1/5 수준에 불과

• 최근 미국은 Biden 대통령 당선 후 정부의 환경 정책 변화(① 파리 기후 협정 재가입, ② CAFÉ(기업평균연비) 기준 원상 복구, ③ 30년까지 고속도로 충전소 50만개로 확대 등)가 예상

• 실제로 미국 자동차 1위 업체인 GM은 지난 11월 21일에 향후 전기차 출시 계획안을 대폭 확대 조정해 발표(① 25년 출시 전기차종 22종 30종, ② 25년 신차 판매 내 전기차 비중 최대 40%까지 확대 등). 이는 GM뿐만이 아니라 앞으로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업체들에게 나타날 변화이며, 미국 내 전기차 판

매량을 빠르게 끌어올릴 신호탄인 것으로 판단

• 따라서 향후 환경 규제안을 충족시키기 위한 미국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비중 확대 움직임이 본격화될 경우 전세계 전기차 시장 성장의 기울기는 지금의 예상보다 더욱 가팔라질 것. 또한 향후 이차전지 업체들의 생산 기지가 기존 유럽 지역에서 미국으로 확대될 가능성 부각. 현 시점에서 예단하기 어렵지만 지금까지 보수적인 자세를 보여왔던 삼성SDI가 내년 중에 새로운 증설 계획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것으로 판단

• 올해 삼성SDI, LG화학 주가는 향후 전기차 시장 성장의 가파른 수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연초 대비 각각 +143%, +161% 상승. 국내 주요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의 주가도 평균 +125% 상승하며 연초 대비 가파른 상승세 기록

• 최근 이차전지 관련 업체들의 Valuation 부담에 대한 우려의 시각 존재하나 2021년에도 주가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유럽, 미국, 중국 등 각국의 환경 규제 정책에 따라 신차 중 전기차 판매 비중이 현재의 4%에서 25년 20~30% 수준까지 증가한다고 가정할 경우 전기차 시장 규모는 향후 5년간 5~6배 증가할 수 있다는 의미. 여전히 관련 수혜 업체들의 미래 성장성에 주목해야 할 시점

• 현 시점에서 볼 때 ‘25년 전세계 배터리 생산 Capa. = 20년 생산 Capa. x 최소 3배 이상’. 당사의 배터리 수급 전망에 따르면 현재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Capa. 증설 규모 계획 수준만으로는 2024년부터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 발생할 것으로 추정(非Tesla 전기차 기준)

• 향후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Capa. 증설 규모는 현재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전개될 가능성 높을 것으로 전망. 대규모 Capex 투자가 주도하는 중간재(소재/부품)의 장기 호황 가능성에 주목.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예상을 상회하는 Capa. 증설 발표가 이차전지 업종들의 주가에 긍정적인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Summary

Page 4: Underweight EM Equity

4

• 배터리 '소재 혁신'의 결과로 ① 에너지 밀도 증가, ② 배터리 특성(충전, 수명 등) 개선, ③ 배터리 가격 하락, ④ 안정성 개선 등의 기대 가능

• 현 시점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Tesla와의 배터리 기술 경쟁, 전기차 안정성 개선 등을 해결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은 제한적

• 향후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이 이차전지 수요의 급증과 관련 업체들의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어 여전히 매력적인 구간이라고 판단

1. Tesla 'Battery day' 이후 배터리 기술 경쟁 본격화

–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가격 56% 하락, 주행거리 54% 향상, GWh당 설비 투자비 69% 절감 목표 Tesla의 기술 개발 방향성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 2023년 LFP 배터리를 채택한 $25,000 중저가 전기차 출시 계획

2. 국내 업체들의 배터리 기술 방향성 '소재 혁신' 2023년 배터리 밀도 +35% 이상 향상, 배터리 가격 -35%+∝ 이상 하락

① High nickel → 2023년 NCMA 9X% Nickel 비중 양극재 채택 (관련 업체: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② Si 음극재+CNT 도전재 → 2022년 Si 음극재 본격 채택 (관련 업체: 대주전자재료, 한솔케미칼, 나노신소재)

③ 신규 전해질 및 전해액 첨가제 → 매년 Optimizing 필요 (관련 기업: 동화기업, 천보)

④ 2023년 이후 공정상의 생산성 향상을 통해 추가적인 원가 절감, 에너지 밀도 증가를 위한 연구 개발 필요

3. 전기차 화재(폭발) 관련 자동차 설계 및 배터리 안정성 개선 필요

① 배터리 자체 안정성 개선 →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리막, 전해액(전해질) 기술 중요성 부각 (관련 기업: W-scope(일), 천보, 동화기업)

② 전기차 설계/Algorism 개선 → 추가 안전 마진 확보 & 배터리 발열 제어

주행거리 단축 불가피 - 근본적인 개선 위해 배터리 에너지 밀도 향상 및 전기차 Platform 최적화 필요

① High nickel 양극재 (관련 기업: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② Si 음극재+CNT 도전재 (관련 기업: 대주전자재료, 한솔케미칼, 나노신소재)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Summary

Page 5: Underweight EM Equity

5

Key Chart

자료: 하이투자증권 자료: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Key1. 전세계 전기차(BEV+PHEV) 연간 판매량 추이 및 전망

Key3. 非Tesla향 전기차 배터리 수급 추이 및 전망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

-100

0

100

200

300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GWh)(GWh)배터리 수요-공급(좌)

非Tesla EV 배터리 수요(우)

배터리 생산량 추정치 w/o Tesla(우)

0%

10%

20%

30%

40%

0

500

1,000

1,500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GWh) 삼성SDISK이노베이션LG화학CATLBYDSVOLT중국 기타NorthvoltPSAamteFREYR

국내 3사 업체 Capa. 점유율(우)

0%

2%

4%

6%

8%

10%

12%

14%

16%

18%

20%

0

2

4

6

8

10

12

14

16

18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백만대)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좌) 신차 판매 대비 침투율(우)

COVID-19

내연기관 Cost parity 배터리 가격

$100/kWh↓

Key2. 전세계 주요 배터리 업체 생산 Capa. 현황 및 전망(Tesla향 원형전지 Capa. 제외)

0.0

10.0

20.0

30.0

40.0

50.0

60.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배) 이차전지 소재 업체 24개월 Fwd. P/E 평균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천보

엘앤에프

SKC

Key4.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체 24개월 Forward P/E 배수

Page 6: Underweight EM Equity

6

‘22년 100GWh 가동 계획

‘25년 68GWh 가동 계획

‘24년 64(40+24)GWh 가동 계획

‘22년 가동 계획

‘23년 32GWh 가동 계획

‘22년 5만t 가동 계획

‘22년 2.5만t 가동 계획

‘21년 4만t 가동 계획

‘21년 6.8억m2 가동 계획

‘21년 1.8만t 가동 계획

‘21년 2만t 가동 계획

‘21년 2만t 가동 계획

현재 1만t 가동 중

‘23년 1만t 가동 계획

‘23년 가동 계획

‘21년 가동 계획

‘24년 9천만m2 가동 계획

‘24년 0.4만t 가동 계획

‘23년 4억m2 가동 계획

‘25년 39GWh 가동 계획

‘25년 57GWh 가동 계획

‘25년 100GWh 가동 계획

‘22년 10만t 가동 계획

: Battery Cell : 양극재/활물질 : 전해질 및 첨가제 : 전해액

: 분리막 : 흑연 : 동박 : 알루미늄박

‘23년 24GWh 가동 계획

‘23년 24GWh ‘30년 48GWh 가동 계획

‘23년 30GWh 가동 계획

‘21년 각 2만t 가동 계획

Key Chart (유럽 내 이차전지 Value chain)

Page 7: Underweight EM Equity

7

Key Chart (주요 이차전지 소재 SCM 현황)

LG화학

양극재

NCM 등 국내 LG화학,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등 해외 Nichia(일), Umicore(유) 등

Binder 해외 Kureha(일) CNT 도전재 국내 LG화학

알루미늄박 국내 삼아알루미늄 해외 Toyo(일)

음극재

흑연 국내 포스코케미칼 등 해외 BTR(중), XFH Tech(중), Mitsubishi Chem(일) 등

Binder 해외 Zeon(일) 실리콘 국내 대주전자재료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동박 국내 SK넥실리스,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등 해외 Watson(중), CCP(대)

분리막 분리막 국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해외 Toray(일), 상해은첩(중), Senior(중) 등

전해액 전해액

국내 엔켐 해외 Capchem(중), Guotai Huarong(중) 등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후성, 천보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SK 이노베이션

양극재

NCM 등 국내 에코프로비엠 해외 -

Binder 해외 Kureha(일)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알루미늄박 국내 삼아알루미늄, 롯데알미늄 등 해외 -

음극재

흑연 국내 포스코케미칼 해외 -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해외 Zeon(일)

실리콘 국내 대주전자재료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동박 국내 SK넥실리스,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등 해외 Watson(중)

분리막 분리막

국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해외 -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전해액 전해액

국내 엔켐, 솔브레인, 동화일렉 등 해외 -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천보, 켐트로스, 덕산테코피아 등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삼성SDI

양극재

NCM, NCA 등 국내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해외 Umicore(유)

Binder 해외 Kureha(일) CNT 도전재 국내 동진쎄미켐 혹은 나노신소재

알루미늄박 국내 롯데알미늄 해외 -

음극재

흑연 국내 - 해외 BTR(중), Mitsubishi Chem(일), Novonix(호) 등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해외 Zeon(일)

실리콘 국내 한솔케미칼 해외 BTR(중)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혹은 동진쎄미켐

동박 국내 일진머티리얼즈, SK넥실리스 등 해외 Watson(중)

분리막 분리막

국내 WCP 해외 Asahi Kasei(일), Toray(일)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전해액 전해액

국내 동화일렉, 솔브레인 등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후성, 천보, 켐트로스, 덕산테코피아 등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Tesla 소재 SCM

양극재 NCM, NCA 등 국내 LG화학(by LG화학), 엘앤에프(by LG화학) 해외 Sumitomo(일)(by Panasonic)

음극재 흑연 해외 XFH Tech(중)

동박 국내 두산솔루스(직납 가능성) 해외 Nuode(중)(by LG화학)

분리막 해외 Asahi Kasei(일)(by Panasonic), Senior(중)

전해액 전해액 해외 Tinci(중)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천보(by Tinci)

유럽 현지 생산 SCM

(지역적 장점)

양극재 NCM, NCA 등

국내 포스코케미칼 해외 Umicore(일)

알루미늄박 국내 롯데알미늄 CNT 도전재 국내 동진쎄미켐

음극재 동박 국내 두산솔루스, 일진머티리얼즈

전해액 전해액

국내 동화일렉, 솔브레인, 엔켐

해외 Capchem(중), Tinci(중), Guotai Huarong(중),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전해질 국내 후성

분리막 국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해외 Toray(일), 상해은첩(중), Senior(중)

Page 8: Underweight EM Equity

C O N T E N T S

3

5

8

9

23

36

57

58

63

68

Ⅰ. Summary

Ⅱ. Key Chart

Ⅲ. 2021년 이차전지 산업 전망

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3.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Ⅳ. 기업 분석

-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Page 9: Underweight EM Equity

9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그림1. 전세계 전기차(BEV+PHEV) 월별 판매량 추이

자료: Marklines, 하이투자증권 자료: Marklines, 하이투자증권

그림2. 전세계 신차 판매량 대비 전기차(BEV+PHEV) 침투율 추이

– 최근 각국 정부들은 COVID19 사태 이후 경기부양 대책 일환으로 그린뉴딜 기조 강조하며 전기차 시장 확대 위한 지원 정책 전략을 더욱 강화 중

– 10월 전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계절적 요인과 COVID-19 재확산세 영향으로 720만대 기록하며 전월 대비 -5% 감소. 반면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33만대(YoY: +125%, MoM: +3%) 기록하며 고점을 높여가는 중. 종류별로 살펴보면 BEV 22.7만대(YoY +132%, MoM: +0.2%),

PHEV 102.3만대(YoY +113%, MoM +9%), HEV 21.2만대(YoY +24%, MoM -14%) 기록하며 BEV와 PHEV 판매가 크게 증가. 10월 전기차

판매 침투율은 4.5%로 전월 대비 +0.3%pt 상승

– 지역별로는 유럽 13.9만대(YoY +174%, MoM -8%), 미국 32.6만대(YoY +26%, MoM: -4%), 중국 14.9만대(YoY +129%, MoM: +18%)로

크게 증가

– 향후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은 이차전지 수요의 급증과 관련 업체들의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며 여전히 매력적인 구간이라고 판단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 현황

천대

-100%

-50%

0%

50%

100%

15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20.01 20.07

( )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 YoY 증감률 MoM 증감률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20.01 20.07

(천대)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 침투율

Page 10: Underweight EM Equity

10

전세계 전기차 월별 판매량 현황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100%

-50%

0%

50%

100%

150%

0

100

200

300

40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150%

200%

0

50

100

150

200

25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전세계 B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150%

0

20

40

60

80

100

12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전세계 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150%

200%

0

20

40

60

80

10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유럽 B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0%

100%

200%

300%

400%

500%

0

20

40

60

8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유럽 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150%

200%

0

10

20

30

40

50

60

17.01 18.01 19.01 20.01

(천대)

미국 전기차(BEV+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0

5

10

15

20

25

30

35

40

17.01 18.01 19.01 20.01

(천대)

미국 B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0

2

4

6

8

10

12

14

17.01 18.01 19.01 20.01

(천대)

미국 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200%

0%

200%

400%

600%

0

50

100

150

20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중국 전기차(BEV+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200%

-100%

0%

100%

200%

300%

400%

500%

0

20

40

60

80

100

120

14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중국 B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20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0

5

10

15

20

25

30

35

17.01 18.01 19.01 20.01

(천대)

중국 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100%

-50%

0%

50%

100%

150%

200%

250%

0

50

100

150

200

17.01 18.01 19.01 20.01

(천대)

유럽 전기차(BEV+PHEV) 판매량YoY 증감률MoM 증감률

0%

1%

2%

3%

4%

5%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7.01 18.01 19.01 20.01

(천대)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

침투율

0%

10%

20%

30%

40%

50%

6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12.02 14.02 16.02 18.02 20.02

(점유율)(천대)

전체 전기차(BEV+PHEV) 판매량

TeslaVWBMWDaimlerHyundai/KIARenault-NissanGMBYD

0%

50%

100%

150%

200%

0

10

20

30

40

50

60

17.01 18.01 19.01 20.01

(천대)

Tesla 전기차(BEV+PHEV) 판매량

YoYMoM

0%

200%

400%

600%

800%

1000%

0

10

20

30

40

50

17.01 18.01 19.01 20.01

(천대)

Volkswagen 전기차(BEV+PHEV) 판매량

YoYMoM

Page 11: Underweight EM Equity

1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그림3. 향후 GM 전기차에 적용될 Ultium 배터리

자료: GM, 하이투자증권 자료: GM, 하이투자증권

그림4. GM의 전기차 Platform

–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 성장폭 대비 상대적으로 가장 부진한 지역이 미국이라는 점에 주목. 지난 10월 미국 전기차 누적 판매량 YoY 성장률은 +26%로 전세계 평균인 +125% 대비 1/5 수준에 불과

– 최근 미국은 Biden 대통령 당선 후 정부의 환경 정책 변화(① 파리 기후 협정 재가입, ② CAFÉ(기업평균연비) 기준 원상 복구, ③ 30년까지 고속도로 충전소 50만개로 확대 등)가 예상

– 실제로 미국 자동차 1위 업체인 GM은 지난 11월 21일에 향후 전기차 출시 계획안을 대폭 확대 조정해 발표(① 25년 출시 전기차종 22종 30종, ② 25년 신차 판매 내 전기차 비중 최대 40%까지 확대 등). 이는 GM뿐만이 아니라 앞으로 미국 내 주요 완성차 업체들에게 나타날 변화이며,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을 빠르게 끌어올릴 신호탄인 것으로 판단

– 따라서 향후 환경 규제안을 충족시키기 위한 미국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비중 확대 움직임이 본격화될 경우 전세계 전기차 시장 성장의 기울기는 지금의 예상보다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기대

가장 재미없는 미국까지 움직이면 전기차 시장 성장 더욱 가속화될 것

Page 12: Underweight EM Equity

12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그림5. GM의 전기차 관련 중장기 Roadmap 발표안

자료: GM, 하이투자증권

Page 13: Underweight EM Equity

13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 미국은 지난 7월 14일에 새로운 청정 에너지/지속 가능한 Infra 계획안을 발표하고, 늦어도 2050년까지 미국 경제 전체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Net-zero를 달성하기 위해 4년간 2조 달러(약 2,200억원) 투입할 계획. Biden 대통령도 화석 에너지에서 청정에너지 자원으로의 전환을 공약으로 발표.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과 기후 변화 방지를 위한 대규모 Infra 투자를 통해 1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목적

– Biden 대통령의 Re-shoring 정책에 대한 대응도 필요. 미국 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에서 판매해 발생한 이익에 대해 기본 법인세 28%에 Off-shoring에 따른 세율 2.8%pt를 더해 30.8%의 세금을 부과할 예정. 반면 2025년을 기점으로 Re-shoring 기업에는 10%의 세금 공제 혜택을 약속 향후 이차전지 업체들의 생산 기지가 기존 유럽 지역에서 미국으로 확대될 가능성 부각

– 국내 배터리 업체들 중 SK이노베이션은 조지아주에 배터리 1, 2공장을 건설 중이며 추가 증설도 계획. LG화학은 미국 1위 자동차 업체인 GM과 합작 법인 Ultium Cells를 설립하고 2022년부터 연간 30GWh 이상 규모의 생산 Capa.를 가동할 예정. 삼성SDI도 완성차 업체 수요에 따라 미국 공장 증설 및 신설을 검토 중. 현 시점에서 예단하기 어렵지만 지금까지 보수적인 자세를 보여왔던 삼성SDI가 내년 중에 새로운 증설 계획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것으로 판단

배터리도 Made in America

그림6. 주요 국가별 전기차 판매 시장 점유율(2019~2020년 누적)

자료: Marklines, 하이투자증권 자료: 한국무역협회, 하이투자증권

표1. Biden 대통령 주요 공약

미국

14%

중국

46%

유럽

36%

기타

4%

주요 정책 세부 내용

세제 개편

법인세 인상 (현행) 21% → (개정) 28%

개인소득세 인상 (현행) 37% → (개정) 39.6%

해외 수익 최저세율 인상 (현행) 10.5% → (개정) 21%

Offshoring 추징세 도입

미국 기업이 해외로 일자리 이전해 생산한 재화 서비스를 미국 내 판매할 경우 연방 정부 법인세에 10%를 가산

Reshoring 장려 10% 세액공제 → 선정기준: ① 폐쇄기업 재활성화, ② 경쟁력 고용확대를 위한 시설개조, ③ 해외생산설비를 미국으로 이전 등

탄소조정세 도입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화석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세금 부과, 이산화탄소 과다배출 품목에 대한 추가관세 또는 쿼터 부과

환경 청정에너지 Infra 계획

청정에너지 분야 투자 확대(4년간 2조 달러)

전기차 Infra 확충(고속도로 충전소 50만개 설치)

건축물 냉난방시설 고효율화(400만채 이상에 고효율 시설 도입)

국제공조 강화 파리기후변화협약 재가입

Page 14: Underweight EM Equity

14

구분 친환경차 판매량 목표 친환경차 판매 침투율 목표 Full ICE phase out or 100% EV target 국가 2021~2022 2025 2030 2035 2040 2050

아시아

중국 20% NEVs (PHEV, BEV, FCEV)

40% NEVs (PHEV, BEV, FCEV)

50% NEVs (PHEV, BEV, FCEV)

내연기관 판매 금지 인도네시아 2,200 EVs

일본 30~40% HEV, 20~30% BEV, PHEV, 3% FCEV

HEV/PHEV/BEV/ FCEV 비중 100%

한국 430,000 BEVs,

67,000 FCEVs ('22) 33% BEV, FCEV

말레이시아 100,000 EVs 파키스탄 30% EV 90% EV

스리랑카 100% EV/HEV

점유율

태국 1.2백만 EVs ('36) EU 13백만 ZEV/LEV

덴마크 1백만 EVs 100% ZEV 판매비중 휘발유/경유차 판매 금지

핀란드 250,000 BEV, PHEV, FCEV

프랑스 500,000 PHEVs,

660,000 BEVs ('23) 1.8백만 PHEVs

3백만 BEVs ('28) 내연기관 판매 금지

독일 7~10백만 BEV, FCEV 100% ZEV 판매비중 아이슬란드 휘발유/경유차 신규 등록 금지

아일랜드 500,000 EVs 내연기관 신규 등록 금지

이탈리아 6백만 전기차 (4백만 BEV)

네덜란드 150,000 FCEVs 300,000 FCEVs 100% ZEV 판매 비중

노르웨이 100% ZEV 판매 비중 폴란드 1백만 Evs

포르투갈 30% ZEVs 내연기관 판매 금지

슬로베니아 17% EV 100% EV 판매 비중

스페인 5백만 EVs 100% ZEV 판매비중

스웨덴 휘발유/경유차

판매 금지

영국 50-70% EV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캐나다

825,000 ZEVs (PHEV, BEV, FCEV)

2.7백만 ZEVs 14백만 ZEVs

10% ZEV 30% ZEV 100% ZEV 판매비중

미국 3.3백만 ZEVs(PHEV, BEV,

FCEV) in 11 states

100% 판매비중 in 10 states

카보베르데 35% EV 70% EV 100% EV 콜럼비아 10% ZEV 600,000 EVs

코스타리카 25% ZEV 100% ZEV 판매비중 칠레 40% EV

이스라엘 177,000 EVs 1.4백만 EVs 100% EV/NGV 판매비중

뉴질랜드 64,000 EVs ('21)

Appendix. 국가별 전기차 보급 Roadmap

자료: IEA, 하이투자증권

Page 15: Underweight EM Equity

15 자료: 하이투자증권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7. 국내 이차전지 3사 상대주가 추이(2020.01.02=0%)

그림9. 국내 이차전지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부품 업종 시가총액 합산 그림8. 국내 주요 이차전지 소재 상대주가 추이(2020.01.02=0%)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 올해 삼성SDI, LG화학 주가는 향후 전기차 시장 성장의 가파른 수혜

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연초 대비 각각 +143%, +161% 상승

– 이에 따라 국내 주요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의 주가도 평균 +125%

상승하며 연초 대비 가파른 상승세 기록

– 최근 이차전지 관련 업체들의 Valuation 부담에 대한 우려의 시각

존재하나 2021년에도 주가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유럽, 미국, 중국 등 각국의 환경 규제 정책에 따라 신차 중 전기차 판

매 비중이 현재의 4%에서 25년 20~30% 수준까지 증가한다고 가

정할 경우 전기차 시장 규모는 향후 5년간 5~6배 증가할 수 있다는

의미. 여전히 관련 수혜 업체들의 미래 성장성에 주목해야 할 시점

이차전지 산업의 미래 성장성에 주목하자

-100%

-50%

0%

50%

100%

150%

200%

19.01 19.04 19.07 19.10 20.01 20.04 20.07 20.10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19.01 19.04 19.07 19.10 20.01 20.04 20.07 20.10

(십억원)국내 이차전지 소재부품 업종 시총 합산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소재부품 업종 시총 합산

-100%

-50%

0%

50%

100%

150%

200%

25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천보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코스모화학

SKC

대주전자재료

동화기업

나노신소재

켐트로스

Average

Page 16: Underweight EM Equity

16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자료: 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자료: 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그림13.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체 24개월 Forward P/E 배수

그림10. 국내 배터리 업체 12개월 Forward P/E 배수 그림11. 국내 배터리 업체 24개월 Forward P/E 배수

k-g PER =

1-b

Valuation -20%

Valuation -45%

0.0

10.0

20.0

30.0

40.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배) 배터리 업체 24개월 Fwd. P/E 평균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배) 배터리 업체 12개월 Fwd. P/E 평균

삼성SDI

LG화학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배) 이차전지 소재 업체 12개월 Fwd. P/E 평균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천보

엘앤에프

SKC

대주전자재료

동화기업

0.0

10.0

20.0

30.0

40.0

50.0

60.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배) 이차전지 소재 업체 24개월 Fwd. P/E 평균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천보

엘앤에프

SKC

그림12.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체 12개월 Forward P/E 배수

Page 17: Underweight EM Equity

17 자료: 하이투자증권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14. 전세계 전기차(BEV+PHEV) 연간 판매량 추이 및 전망

그림16. 非Tesla향 전기차 배터리 수급 추이 및 전망 그림15. 전세계 주요 배터리 업체 생산 Capa. 현황 및 전망(Tesla향 원형전지 Capa. 제외)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5년 전세계 배터리 생산 Capa. = 20년 생산 Capa. x 최소 3배 이상’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배터리 수급 전망에 따르면 현재 주요 배

터리 업체들의 Capa. 증설 규모 계획 수준만으로는 2024년부터 배

터리 공급 부족 현상 발생할 것으로 추정(非Tesla 전기차 기준)

– 향후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Capa. 증설 규모는 현재의 예상을 뛰어

넘는 수준으로 전개될 가능성 높을 것으로 전망

– 대규모 Capex 투자가 주도하는 중간재(소재/부품)의 장기 호황 가

능성에 주목.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예상을 상회하는 Capa. 증설 발

표가 이차전지 업종들의 주가에 긍정적인 호재로 작용

2024년 기점으로 배터리 공급 부족 가능성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

-100

0

100

200

300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GWh)(GWh)배터리 수요-공급(좌)

非Tesla EV 배터리 수요(우)

배터리 생산량 추정치 w/o Tesla(우)

0%

10%

20%

30%

40%

0

500

1,000

1,500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GWh) 삼성SDISK이노베이션LG화학CATLBYDSVOLT중국 기타NorthvoltPSAamteFREYR

국내 3사 업체 Capa. 점유율(우)

0%

2%

4%

6%

8%

10%

12%

14%

16%

18%

20%

0

2

4

6

8

10

12

14

16

18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백만대)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좌) 신차 판매 대비 침투율(우)

COVID-19

내연기관 Cost parity 배터리 가격

$100/kWh↓

Page 18: Underweight EM Equity

18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전세계 반도체 시장의 성장으로 일본 소재 업체들의 시가총액은 10배 이상 상승했다

그림17. 국가별 Memory 반도체 시장 점유율 추이(매출액 기준)

자료: Monolithic3d, 하이투자증권 자료: Gartner, Bloomberg, 하이투자증권

주: 일본 반도체 장비, 소재, 부품 업체 21개사 시가총액 합산

그림18. 일본 주요 반도체 장비, 소재, 부품 업종 시가총액 Index

– 일본 IT 산업 20년의 시가총액 지도 변화를 살펴보면 2000년 이후 일본은 한국에게 가전, 핸드셋,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도권을 내주었

지만 관련 소재, 장비 업체들의 기술 경쟁력과 관련 기업 시가총액 규모는 지속 확대

– 성장 초기 국면인 이차전지 산업에서도 한국, 중국, 유럽 배터리 업체들의 CapEx 확대가 국내 소재 업체들의 가파른 실적 성장 가능성에 정당성

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최근 대부분의 배터리 업체들이 최대 전기차 시장인 유럽 지역 내에 생산 Capa.를 늘리며 전세계에서 가장 큰 생산 기지 구축 중. 이에 따라

Commodity화 되어있는 이차전지 소재 특성상 유럽 현지에 소재 생산 Capa.를 갖춘 업체들의 경우 다양한 고객사들로 공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지리적 이점을 통해 더 높은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Dot-com bubble

Financial crisis

0%

10%

20%

30%

40%

50%

60%

70%

80%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10

미국 주도 일본 주도 한국 주도

한국

일본

기타

미국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십억USD)

688

929

1,007

0

200

400

600

800

1,000

1,200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1992.01.=100)일본 주요 반도체 장비, 소재부품 업종 시가총액 Index

전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우)

Page 19: Underweight EM Equity

19

주요 업체별 xEV향 배터리 소재 Value chain – 골라 담는 재미가 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LG화학

양극재

NCM 등 국내 LG화학,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등 해외 Nichia(일), Umicore(유) 등

Binder 해외 Kureha(일) CNT 도전재 국내 LG화학

알루미늄박 국내 삼아알루미늄 해외 Toyo(일)

음극재

흑연 국내 포스코케미칼 등 해외 BTR(중), XFH Tech(중), Mitsubishi Chem(일) 등

Binder 해외 Zeon(일) 실리콘 국내 대주전자재료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동박 국내 SK넥실리스,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등 해외 Watson(중), CCP(대)

분리막 분리막 국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해외 Toray(일), 상해은첩(중), Senior(중) 등

전해액 전해액

국내 엔켐 해외 Capchem(중), Guotai Huarong(중) 등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후성, 천보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SK 이노베이션

양극재

NCM 등 국내 에코프로비엠 해외 -

Binder 해외 Kureha(일)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알루미늄박 국내 삼아알루미늄, 롯데알미늄 등 해외 -

음극재

흑연 국내 포스코케미칼 해외 -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해외 Zeon(일)

실리콘 국내 대주전자재료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동박 국내 SK넥실리스, 일진머티리얼즈, 두산솔루스 등 해외 Watson(중)

분리막 분리막

국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해외 -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전해액 전해액

국내 엔켐, 솔브레인, 동화일렉 등 해외 -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천보, 켐트로스, 덕산테코피아 등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삼성SDI

양극재

NCM, NCA 등 국내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해외 Umicore(유)

Binder 해외 Kureha(일) CNT 도전재 국내 동진쎄미켐 혹은 나노신소재

알루미늄박 국내 롯데알미늄 해외 -

음극재

흑연 국내 - 해외 BTR(중), Mitsubishi Chem(일), Novonix(호) 등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해외 Zeon(일)

실리콘 국내 한솔케미칼 해외 BTR(중)

CNT 도전재 국내 나노신소재 혹은 동진쎄미켐

동박 국내 일진머티리얼즈, SK넥실리스 등 해외 Watson(중)

분리막 분리막

국내 WCP 해외 Asahi Kasei(일), Toray(일)

Binder 국내 한솔케미칼

전해액 전해액

국내 동화일렉, 솔브레인 등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후성, 천보, 켐트로스, 덕산테코피아 등 해외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등

Tesla 소재 SCM

양극재 NCM, NCA 등 국내 LG화학(by LG화학), 엘앤에프(by LG화학) 해외 Sumitomo(일)(by Panasonic)

음극재 흑연 해외 XFH Tech(중)

동박 국내 두산솔루스(직납 가능성) 해외 Nuode(중)(by LG화학)

분리막 해외 Asahi Kasei(일)(by Panasonic), Senior(중)

전해액 전해액 해외 Tinci(중)

전해질 및 첨가제 국내 천보(by Tinci)

유럽 현지 생산 SCM

(지역적 장점)

양극재 NCM, NCA 등

국내 포스코케미칼 해외 Umicore(일)

알루미늄박 국내 롯데알미늄 CNT 도전재 국내 동진쎄미켐

음극재 동박 국내 두산솔루스, 일진머티리얼즈

전해액 전해액

국내 동화일렉, 솔브레인, 엔켐

해외 Capchem(중), Tinci(중), Guotai Huarong(중), Central glass(일), Mitsubishi Chem(일)

전해질 국내 후성

분리막 국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해외 Toray(일), 상해은첩(중), Senior(중)

Page 20: Underweight EM Equity

20

‘22년 100GWh 가동 계획

‘25년 68GWh 가동 계획

‘24년 64(40+24)GWh 가동 계획

‘22년 가동 계획

‘23년 32GWh 가동 계획

‘22년 5만t 가동 계획

‘22년 2.5만t 가동 계획

‘21년 4만t 가동 계획

‘21년 6.8억m2 가동 계획

‘21년 1.8만t 가동 계획

‘21년 2만t 가동 계획

‘21년 2만t 가동 계획

현재 1만t 가동 중

‘23년 1만t 가동 계획

‘23년 가동 계획

‘21년 가동 계획

‘24년 9천만m2 가동 계획

‘24년 0.4만t 가동 계획

‘23년 4억m2 가동 계획

‘25년 39GWh 가동 계획

‘25년 57GWh 가동 계획

‘25년 100GWh 가동 계획

‘22년 10만t 가동 계획

: Battery Cell : 양극재/활물질 : 전해질 및 첨가제 : 전해액

: 분리막 : 흑연 : 동박 : 알루미늄박

‘23년 24GWh 가동 계획

‘23년 24GWh ‘30년 48GWh 가동 계획

‘23년 30GWh 가동 계획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1년 각 2만t 가동 계획

Page 21: Underweight EM Equity

2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그림19.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의 구조

자료: Quantumscape, 하이투자증권

–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높아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리는데 유리하고, 충전 시간도 기존 순수

전기차의 1/3 수준으로 대폭 짧아질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하고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 가진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 이론적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이 300~400Wh/l 가 한

계인 반면 전고체 배터리는 700~800Wh/l 수준까지도 에너지 특성

구현 가능. 특히 액체 전해액이 고체 전해질로 대체되면서 전기 화학적

안정성이 낮고, 고열과 외부 충격에 의해 부피 팽창, 화재 등의 위험 요

인이 존재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안정성이 크게 향상

– 최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도요타는 내년에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

한 전기차 시제품을 공개할 계획인 것으로 보도

– 삼성SDI는 2025년에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공개 후 2027년부터 양

산할 계획

– Microsoft 창업자 Bill Gates와 전세계 1위 완성차 업체인 폭스바겐이

투자한 미국 Start-up 업체인 QuantumScape는 15분 만에 80%까

지 충전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 중이며 2024~2025년부터

본격 양산 계획

– 현대자동차는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2025년 시범 생산하

고 2030년 본격 양산할 예정

– 전고체 배터리 기술 변화에도 리튬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배터리 용

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배터리의 에너지원인 양극재(NCM/NCA)

사용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

중장기적으로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능성에 주목 *Li-ion battery

*Solid-state battery

Lithium metal

(C-Si)

Page 22: Underweight EM Equity

C O N T E N T S

3

5

8

9

23

36

57

58

63

68

Ⅰ. Summary

Ⅱ. Key Chart

Ⅲ. 2021년 이차전지 산업 전망

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3.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Ⅳ. 기업 분석

-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Page 23: Underweight EM Equity

23 자료: Tesla, 하이투자증권

그림20. 배터리 가격을 낮추기 위한 Tesla의 5가지 계획

그림21. 향후 Tesla는 5가지 기술 변화를 통해 주행거리 향상, 배터리 가격 하락, 설비 투자비 감소를 추진할 계획

Cell

design

30%

Anode

material

37%

Cathode

material

7%

Cell

vehicle

integratio

n

26%

주행거리 향상

Cell

design

25%

Cell

factory

32%

Anode

material

9%

Cathode

material

21%

Cell

vehicle

integratio

n

13%

$/kWh 감소

Cell

design

10%

Cell

factory

49%

Anode

material

6%

Cathode

material

23%

Cell

vehicle

integratio

n

12%

설비 투자비

– Tesla는 지난 9월 배터리데이를 통해 배터리 내재화와 생산원가 절

감 및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기술 Roadmap 공개

–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가격 56% 하락, 주행거리 54% 향상, GWh당

설비 투자비 69% 절감 목표 Tesla의 기술 개발 방향성의 무게 중

심은 '공정 혁신'

– 2023년에는 LFP 배터리를 채택한 $25,000 수준의 중저가 전기차

출시 계획

– 아직까지 Tesla의 배터리 자체 공장 가동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 존

재하나 본격 양산 시작될 경우 배터리 업체간 기술 경쟁 본격화 전망

Tesla 'Battery day' 이후 배터리 기술 경쟁 본격화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24: Underweight EM Equity

24

2023년, $25,000

전기차 출시 계획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결국 저렴한 가격에 전기차 보급을 늘리겠다는 의지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25: Underweight EM Equity

25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 FSD Subscription 및 Robotaxi Biz. model 활성화

– Tesla는 Battery day에서 ① Cell design(18650, 21700 → 46800), ② Cell factory(건식 전극 코팅 방식, Tabless), ③ 실리콘 음극재, ④

High-nickel 양극재, ⑤ Cell vehicle integration(Cell to Chassis) 비용 절감 추진하겠다는 계획 공개. 이를 통해 주행거리는 54% 늘리고, 배

터리 가격은 56% 하락시킬 것이며, 설비 투자 비용은 69%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언급. 이를 기반으로 Tesla는 Autopilot Subscription 및

Robotaxi 비지니스 모델 활성화 시킬 것

자료: 하이투자증권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신규 Biz Model 활성화

Autopilot Subscription

Robotaxi

Gigafactory 4 배터리 자체 생산

Cell factory (건식 전극 코팅 방식,

Tabless)

High-nickel 양극재+실리콘 음극재/

LFP+CTP 기술 적용

Cell design (18650, 21700 →

46800)

Cell vehicle integration(Cell to

Chassis)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26: Underweight EM Equity

26

국가 지역명 공장명 모델명 생산 가능 대수 면적 비고

Model S/X 90,000

Model 3/Y 500,0002020년 내 공장 일부 증설 완료 후

연간 Capa. 40만대→50만대로 증가 예상

Nevada Tesla Gigafactory 1 530만m2 2019년 5월 기준 생산능력 35GWh

New York Tesla Gigafactory 2120만m2

88ac

Model 3 200,000 연간 Capa. 15만대→20만대로 증가

Model Y 150,000 2021년 생산 개시 예정

독일 Berlin Tesla Gigafactory 4 Model 3/Y 500,000 740ac2020년 6월 착공 이후 2021년 생산 개시 예정

추가로 배터리팩 및 파워트레인 생산 계획

Model 3/Y -

Semitruck -

Cybertruck -

1,440,000

테슬라 공장별 Capa. 현황

미국

Fremont,California

Tesla Factory530만m2

370ac(Acre)

Model 3 배터리팩 및 ESS

태양광 셀/모듈 및 ESS

연간 Capa.

중국 Shanghai Tesla Gigafactory 3 210ac

미국Austin,Texas

Tesla Gigafactory 5 2,100ac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① - Tesla Gigafactory 4에서 배터리 내재화 계획

–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출하량 증가에 발 맞추어 Tesla는 지속적으로 증설 계획을 발표 중. 특히 2021년 생산 개시를 예정하고 있는 독일 베를

린 Gigafactory 4에서 Tesla가 배터리를 자체 생산할 것으로 언급 2022년 100Gwh, 2030년 3TWh 규모 Capa. 증설 계획

– Tesla가 지난 19년 10월에 배터리 조립 자동화 설비 업체인 캐나다의 Hibar Systems를 인수하였다는 점도 배터리 내재화 가능성 높이는 요인

– Tesla는 지난 2012년 중순 미국 캘리포니아주 Fremont 지역에 위치한 Tesla Factory에서 Model S를 최초로 생산 개시. 이후 미국 네바다

Gigafactory 1, 뉴욕 Gigafactory 2, 중국 상하이 Gigafactory 3, 독일 베를린 Gigafactory 4를 거쳐 최근 미국 Texas주 Austin 지역에

Gigafactory 5 신규 증설 발표

– Gigafactory 5의 부지 면적은 2,100ac(약 8.5km2) 규모로 기존 Tesla Factory의 370ac(1.5km2) 대비 6배 이상 큰 규모의 공장

표2. Tesla 공장별 가동 및 증설 현황과 차량 생산 가능 대수 추정

자료: Tesla, 하이투자증권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27: Underweight EM Equity

27

그림22. 기존 대비 크기가 커진 46800 배터리와 Tabless 공정 적용할 계획

자료: Tesla, 하이투자증권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② - Cell design – 46800 Tabless 배터리 양산

– 기존에 사용되었던 21700(직경 21mm, 길이 70mm) 원형 배터리를 46800(직경 46mm, 길이 80mm)으로 대체하여 에너지 밀도 향상

– 여기에 더해 Tabless 기술을 통해 원통형 배터리 셀의 탭이 삭제될 경우 공정 간소화 및 연속 생산 공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 절감

가능할 전망

– Tabless 기술 적용시 전자 이동거리가 250mm에서 50mm로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열효율 및 출력도 개선된다고 언급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28: Underweight EM Equity

28 자료: Maxwell, 하이투자증권

Maxell 습식전극 코팅방식 배터리 충방전 Cycle 실험

그림23. Maxwell은 건식 전극 코팅방식 사용시 에너지 밀도, 수명, 원가 절감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언급

건식/습식 전극 코팅방식 배터리 용량 유지율 비교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③ - Maxwell의 건식 전극 코팅 기술 적용

– Tesla는 지난 2019년 5월 건식 전극 코팅 기술을 보유한 Maxwell Technologies社를 2.18억달러(약 2,450억원)에 인수. Maxwell 건식전극

코팅 방식은 건식 파우더를 혼합해 필름 형태로 만들어 이를 전극판(Al, Cu) 위에 바로 올리는 방식. 반면 기존에 주로 사용하는 습식 방식은 활물

질과 바인더, 도전재 등을 용매와 혼합해 일정한 점도를 갖는 상태에서 전극판에 올린 후 용매를 휘발시키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됨

– 건식전극 코팅방식을 적용할 경우의 효과는 ① 습식 방식 대비 에너지 밀도가 200~250Wh/kg에서 300Wh/kg까지 개선되며, ② 2배의 수명

개선 효과가 있으며, ③ Solvent(용매) free 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가 극대화. 이를 통해 Tesla가 배터리 가격을

내연기관차와의 Price Parity로 알려진 $100/kWh를 달성할 수 있을지가 시장의 관심사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29: Underweight EM Equity

29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③ - Maxwell의 건식 전극 코팅 기술 적용

– 당사는 Maxwell이 이미 수년 전부터 Supercapacitor 생산에 건식 전극 코팅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

– Maxwell의 건식 전극 재료 생산을 위해서는 Fibril화(물리적, 화학적 고해 작용을 통해 섬유를 가지 상태로 나누는 것)된 PTFE(폴리테트라 플루

오로에틸렌, 흔히 Teflon으로 불리며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뛰어남) 바인더에 양극/음극 활물질을 혼합해 필름 형태로 적용

– 건식 전극 코팅 공정은 용매를 휘발시키는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정 간소화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생산 시간 단축 효과 기대

– 두번째 장점은 초기 충방전 효율(ICE) 보존에 따른 에너지 밀도 개선.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한 리튬이온이 SEI층의 형성에 소비되기 때문에 처

음에 양극에서 보유하고 있던 리튬 대비 음극이 저장하게 되는 리튬의 양이 감소. 이는다시 방전 이후 충전 과정을 거치더라도 손실된 초기 배터

리 용량은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 용량

그림24. Maxwell의 Super capacitor

자료: Maxwell, 하이투자증권 자료: Maxwell, 하이투자증권

그림25. Super capacitor 기본 구조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30: Underweight EM Equity

30

구분 LCO NCM NCA LMO LFP

분자식 LiCoO2 Li[Ni,Co,Mn]O2 Li[Ni,Co,Al]O2 LiMn2O4 LiFePO4

층상(Layered) 구조 층상(Layered) 구조 층상(Layered) 구조 Spinel 구조 Olivine 구조

에너지 용량 145 mAh/g 140~220 mAh/g 180~220 mAh/g 100 mAh/g 150 mAh/g

동작 전압 3.8 V 3.7 V 3.7 V 4.0 V 3.2 V

안정성 높음 다소 높음 낮음 높음 매우 높음

수명 높음 중간 높음 낮음 높음

난이도 쉬움 다소 어려움 어려움 다소 어려움 어려움

용도 소형 소형, 중대형 소형, 중대형 중대형 중대형

제조사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Shanshan, Umicore,

Nichia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코스모신소재,

포스코케미칼, Umicore,Nichia

에코프로비엠,Sumitomo,

Toda, Nichia

포스코케미칼,Nichia, BYD

한화케미칼, Shanshan,BYD, A123

구조

자료: 산업 자료, 하이투자증권

*주요 양극활물질 종류별 에너지 용량 비교

*주요 음극활물질 종류별 에너지 용량 비교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④ - CATL과의 협업을 통한 LFP+CTP 기술 적용

– 배터리 수명 개선 측면에서는 크게 두 가지 가능성 대두 ① CATL의 LFP 배터리 기술 + CTP(Cell-To-Pack), ② High-nickel 양극재+실리콘 음극재 적용 가능성. LFP 양극 활물질은 NCM/NCA 대비 수명은 훨씬 긴 반면, 에너지 밀도는 떨어지는 약점이 존재. 이에 CTP(Cell-To-Pack) 기술 적용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개선시키겠다는 것이 Tesla의 생각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표3. 주요 양극활물질 종류별 구조 및 특성

자료: MaterialsToday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그림26. 주요 양극/음극활물질 에너지 용량 비교

Page 31: Underweight EM Equity

31

그림27. Tesla의 Cell-To-Pack 관련 특허 도식도 (1/2) 그림28. Tesla의 Cell-To-Pack 관련 특허 도식도 (2/2)

자료: Tesla, 하이투자증권 자료: Tesla, 하이투자증권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④ - CATL과의 협업을 통한 LFP+CTP 기술 적용

– 배터리는 ‘셀→모듈→팩 ‘순으로 조립되는데, Tesla는 배터리 팩의 에너지 밀도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모듈의 수를 낮춰가고 있음

– 실제로 지난 Tesla Model S에 적용된 배터리 팩에는 16개 모듈이 사용된 반면 Model 3에는 4개 모듈이 사용

– CATL은 CTP 기술 적용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10-15% 개선 가능하다 밝히고 있으며, 추가로 배터리 부피가 5~20% 줄고, 사용되는 부품수도 40% 감소한다고 언급

– 2019년 말 Tesla가 발표한 Cell-To-Pack 관련 논문에 따르면, 기존에 셀들의 열 방출을 위해 사용되었던 알루미늄 콘듀이트 대신에 냉각액이 사용될 것으로 추정됨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32: Underweight EM Equity

32

자료: 하이투자증권

주: *차량 무게 1kg당 주행거리 0.67km 영향 미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LFP 채택시 증가하는 무게를 전비에 반영

**현재 시판중인 전기차(NCM/NCA 계열) 평균 주행거리로 추정한 500km 주행 가능 배터리 용량

표4. LFP, NCM/NCA 계열 배터리 패키징 기술별 주행거리, 무게, 가격 Simulation

1. 주행거리 500km 동일 가정시의 배터리 Pack 가격 추정

구분주행 거리

(km)배터리 용량

(kWh)*Cell 기준

(Wh/kg)**Cell 무게

(kg)Pack 기준(Wh/kg)

Pack 무게(kg)

Pack 단가(USD/kWh)

배터리 Pack가격($)

NCM/NCA+일반 PKG 500 96 210 457 147 653 130 12,480

NCM/NCA+CTP 500 87 210 417 165 529 118 10,359

LFP+일반 PKG 500 111 170 652 128 869 90 9,975

LFP+CTP 500 98 170 577 143 684 86 8,390

2. 배터리 Pack 무게 653kg 동일 가정시의 주행 가능 거리 및 배터리 Pack 가격 추정

구분주행 거리

(km)배터리 용량

(kWh)*Cell 기준

(Wh/kg)**Cell 무게

(kg)Pack 기준(Wh/kg)

Pack 무게(kg)

Pack 단가(USD/kWh)

배터리 Pack가격($)

NCM/NCA+일반 PKG 500 96 210 457 147 653 130 12,480

NCM/NCA+CTP 617 108 210 514 165 653 118 12,786

LFP+일반 PKG 376 83 170 490 128 653 90 7,493

LFP+CTP 477 94 170 551 143 653 86 8,008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④ -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LFP 배터리

– 현재 상용화 중인 LFP 배터리와 NCM/NCA 계열 배터리간 패키징 기술별 배터리 팩 가격과 주행거리를 비교해보면 경제성 측면에서 LFP+CTP 배터리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은 분명 강점

– LFP 배터리와 NCM/NCA 계열 배터리에 일반적인 패키징 기술과 CTP 기술을 적용했을 때의 배터리 팩 가격과 무게, 주행 가능 거리 등을 추정해볼 때 주행거리를 500km로 동일 가정시 LFP+CTP 배터리 가격은 $8,390 수준으로 NCM/NCA+일반 패키징 가격($12,480) 대비 약 33% 저렴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33: Underweight EM Equity

33

자료: Nvidia, Tesla, 하이투자증권

표5. 대표적인 자율주행 Platform인 nVIDIA와 Tesla의 Architecture별 사양 비교

Drive PX Xavier Drive PX Pegasus

종류

12x 24x

GPU1x Volta Igpu

(512 CUDA cores)

2x Volta iGPU(512 CUDA cores)2x Turing dGPUs

2x Ampere iGPU(?CUDA cores)

2x Ampere Igpu2x Ampere dGPU

1x Parker GPGPU1x2 SM Pascal, 256 CUDA cores

Memory LPDDR4 LPDDR5 예상 LPDDR4-4266 +

20 INT8 TOPS,1.3 FP32 TFLOPS(GPU)

10 INT8 TOPS,5 FP16 TFLOPS(DLA)

구분Nvidia

TESLA HW 3.0

Computing 1x Tegra Xavier

Performance

750WTDP 30W 500W 130W

Arm HerculesCPU 8x Carmel ARM64 16x Carmel ARM64

2x Tegra Xavier 2x Tegra Orin2x Tegra Orin

+2x Next-Gen GPU

72W

3x quad-core Cortex-A72(12x Coretax A72)

Drive AGX Orin

320 INT8 TOPS(Total)

400 INT8 TOPS(Total)

2000 INT8 TOPS(Total)

2x Tegra X2 (Parker)+D25 Pascal GPU

600 GFLOPS(FP32, FP64)144 TOPS(Int8)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④ -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될 경우 고에너지밀도 배터리 필요성 증가

– 다만 전기차에 배터리를 탑재할 공간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은 LFP 배터리는 주행거리 확보에 불리. 특히 향후 Level 5 수준의 완전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높은 에너지밀도의 배터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결국 LFP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는 시장은 주행거리가 짧은 도심형 전기차, 경제성이 중요한 중저가 전기차 영역에 국한될 것으로 전망

– 업계에 따르면 완전자율주행차 한 대가 하루에 생성하는 데이터량이 약 5~15TB에 달할 것으로 추정. 막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려면 차량에 AI 기반 초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을 필요로 하며 이는 곧 막대한 전력 소모로 이어짐. Level 5의 완전자율주행차는 기존에 상용화돼 있는 Level 1~2 단계의 전기차보다 최대 35% 많은 전력을 소비 주행거리 단축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34: Underweight EM Equity

34

그림29. Tesla는 Single-Piece Casting을 통해 부품 감소 및 공정 간소화

자료: Tesla, 하이투자증권

[Tesla] 원가 절감 + 배터리 특성 개선 ⑤ - Cell Vehicle Integration

–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는 시장에서 이야기되던 Cell-to-Chassis와 유사한 Cell-Vehicle Integration의 적용(팩 기준 비용 절감 -7%)

– Tesla는 Single-Piece Casting을 통한 부품 감소 및 공정 간소화를 통해 Rear Underbody에서 이미 40%의 비용 절감을 이루어냈으며, 추가로 모듈과 팩을 생략해 배터리 셀을 기존 대비 더 밀도 있게 채워 넣음으로써 추가적인 에너지밀도 개선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Page 35: Underweight EM Equity

C O N T E N T S

3

5

8

9

23

36

57

58

63

68

Ⅰ. Summary

Ⅱ. Key Chart

Ⅲ. 2021년 이차전지 산업 전망

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3.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Ⅳ. 기업 분석

-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Page 36: Underweight EM Equity

36

Cell EnergyDensity

양극(Cathode)

음극(Anode)

전해질(Electrolyte)

분리막(Separator)

-

전고체 배터리(700km~)

기존 양극재 혹은Compositeelectrode

기존 음극재혹은 Li metal

Solid electrolyte

280~320 Wh/kg(550~650km)

220~280 Wh/kg(450~550km)

흑연(Graphite) 흑연(Graphite) 흑연+Si 5~10wt%

LiPF6

~200 Wh/kg(250~350km)

200~220 Wh/kg(350~450km)

2030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5

NCM(Ni 5X%) NCM(Ni 60%~) Ni(70%~)High-Nickel(Ni 90%~)

NCM/NCA/NCMA

흑연(Graphite) 흑연+Si 5wt%,

Si 10wt%, Si 15wt%

LiPF6 ① LiPF6 + F/P/D/B 전해질, ② LiPF6 + 전해액 첨가제

Polymer Membranes+PVDF Ceramic Coating

~

High-nickel(80%~)

~

자료: 하이투자증권

– ① 양극재는 High-nickel 양극활 물질과 CNT(Carbon nanotube) 도전재를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② 음극재는 기존 흑연 음극활물질

에 실리콘 음극활물질 5wt%~15wt%를 섞는 형태로 리튬이온의 저장 용량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개선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③ 전해액은

LiPF6, LiFSI(F전해질), LiPO2F2(P전해질) 등의 범용 전해질에 더해 LiDFOP(D전해질), LiBOB(B전해질) 등을 첨가해 배터리 수명, 저온 성능 및

충/방전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향일 것으로 예측

–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는 최근 논문상으로 혁신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 전기차에 적용되는 시기는 적어도

2027~2030년 이후일 것으로 전망. 또한 향후 상용화가 되더라도 시장은 배터리 양산성을 고려한 가격 대비 성능비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 현

시점에서 볼 때 전기차용 배터리 방식이 현재 리튬 배터리의 기본 구조에서 크게 바뀔 가능성 존재

표6.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에너지밀도 향상, 수명 개선, 충전시간 단축, 저온성능 개선’을 위한 주요 소재별 기술 변화 Road-map

향후 국내 업체들의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술 개발 방향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37: Underweight EM Equity

37 자료: Nanoone, 하이투자증권

국내 업체들이 Tesla와 경쟁하기 위한 기술 방향은?

– Tesla의 목표는 ‘저비용 고성능 배터리’를 ‘대량 양산’해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셀을 자사 전기차에 적용하겠다는 것. 확실히 Tesla는 공정 혁신을 통해

배터리 원가를 낮추는 방향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음

– 배터리 원가를 낮추는 방법에는 첫째, 소재비 절감, 제조 공정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절대적인 비용을 낮추는 것과 둘째, 새로운 소재 개발로 에너지 밀도

를 높여 용량당 판가를 낮추는 것

– 향후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방향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소재 혁신. 국내 업체들이 소재 혁신을 통해 Tesla와의 기술, 가격 경쟁력 격차를 좁히는 것

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

그림30. 배터리 원가를 낮추는 두 가지 방법 - 1) 절대적인 생산원가를 낮추는 것과 2) 에너지 밀도를 높여 용량당 판가를 낮추는 것

2020 2021 2022 2023

배터리 용량 260 Wh/kg

공정 습식 전극 공정

양극재 NCA 811

음극재 흑연+Si

첨가제 CNT

Battery price 110~120$/kWh

2020 2021(Next Gen.) 2022 2023

배터리 용량 210 Wh/kg 250 Wh/kg 260 Wh/kg 285 Wh/kg

공정 습식 전극 공정 습식 전극 공정 습식 전극 공정 습식 전극 공정

양극재 NCM 622 NCM/NCA 811 NCM/NCA 811 NCMA 9½½+CNT

음극재 흑연 흑연 흑연+Si 흑연+Si

첨가제 CNT 도전재 CNT 도전재

Battery price 125~130$/kWh 80~85$/kWh

CNT

*국내(중대형 배터리) → '소재 혁신'을 통한 특성 개선 노력 가속화 될 전망

80~85$/kWh

95~100$/kWh

*TESLA(원형) → '공정 혁신'을 통한 특성 개선

295 Wh/kg

46800 Cell + 건식 전극 + Tabless 공정

NCA 811

흑연+Si

약 0.5년 가량의 격차 예상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38: Underweight EM Equity

38 자료: 하이투자증권

에너지 밀도

용량당 판가

Cell Cost 비중 Cell Cost 비중

$47.5 100% $47.2 100%

감가상각비 $8.9 19% $8.9 19% 동일 가정

연구개발비 $3.1 7% $3.1 7% 〃

판매비 및 관리비 $4.5 9% $4.5 9% 〃

기타 $2.0 4% $2.0 4% 〃

Margin $1.4 3% $1.4 3% 〃

원재료비 $27.6 58% $27.4 58% 전체 원재료비 감소

양극재 $10.0 21% NCM 622 $9.1 19% NCM 9½½+CNT 도전재 -9% 감소 Cobalt 사용량 감소로 가격 하락

음극재 $4.0 9% 흑연 $5.0 11% 흑연+Si 5%+CNT 5% +23% 상승 첨가제 원가 상승

전해액 $3.2 7% LiPF6+신규 전해질/첨가제 $3.6 8% LiPF6+신규 전해질/첨가제 15% 인상 상승 가정

분리막 $4.6 10% - $4.6 10% - 동일 가정

기타 $5.0 11% - $5.0 11% - 〃

(현재) NCM 622 + 흑연 음극재 (차세대) NCM 9½½ + 흑연, Si 음극재 참고 사항

210 Wh/kg 285 Wh/kg

125~130 $/kWh 80~90 $/kWh 용량당 판가 하락 효과

비고

'소재 변화→에너지 밀도 향상'

합계 주요 소재 주요 소재NCM 622 → NCM 9½½

변화시 원가 상승 無

표7. 현재의 중대형 배터리와 차세대 중대형 배터리 원가 비교 분석

–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방향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소재 혁신. 당사가 추정한 배터리 원가 분석에 따르면 현재의 NCM611(양극재)+흑연(음극재) 소재 구조에서 차세대 구조인 NCM9½½(양극재)+흑연, 실리콘(음극재)로 소재 변화시 실질적인 원가 상승은 제한적. 오히려 High-nickel 양극재 적용 시 고가의 Cobalt 소재 사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생산 원가가 소폭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

– 특히 차세대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는 기존 210Wh/kg에서 285Wh/kg으로 개선을 기대할 수 있어 용량당 판가는 약 $125/kWh에서 $80~90/kWh 수준까지 빠르게 하락할 것. 향후 중대형 배터리 업체들도 적용을 계획 중인 CTP(Cell to pack) 기술까지 적용한다면 Pack 기준으로는 Tesla와 겨루어볼 만한 가격대까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국내 업체들의 전략 방향, 우리는 소재 혁신으로 간다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39: Underweight EM Equity

39 자료: 하이투자증권

구분 해결 방안(첨가제) 국내 관련 업체

1. 주행 거리 양극재

High-nickel(NCM, NCA, NCMA)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케미칼, 엘앤에프

CNT 도전재 LG화학, 나노신소재

음극재 Si 음극활물질 첨가+CNT 도전재 대주전자재료(LGC)/한솔케미칼(SDI) + 나노신소재

2. 충전 시간 (고속 충전)

양극재 CNT 도전재 LG화학, 나노신소재

음극재 Si 음극활물질 첨가+CNT 도전재 대주전자재료(LGC)/한솔케미칼(SDI) + 나노신소재

전해질 신규 전해질(LiPO2F2, LiDFOP, LiBOB), 전해액 첨가제 천보, 동화기업

3. 수명 향상

양극재 CNT 도전재 LG화학, 나노신소재

음극재 Si 음극활물질 첨가+CNT 도전재 대주전자재료(LGC)/한솔케미칼(SDI) + 나노신소재

전해질 신규 전해질(LiFSI, LiPO2F2, LiDFOP), 전해액 첨가제 천보, 동화기업

4. 저온 특성 전해질 LiFSI(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천보

807 628

497 446 392 250 210 151 127 112

1183

917

721663

588

381293

219180 156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kWh)전기차용 배터리 Cell 평균 가격 전기차용 배터리 Pack 평균 가격

그림31. 전기차 배터리 Cell과 Pack 업계 평균 가격 추이

자료: BloombergNEF, 하이투자증권

표8. 완성차 업체들이 요구하는 주행거리, 충전 시간, 저온 특성, 수명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신규 첨가제들의 채택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 배터리 생산을 내재화해 전기차 시장을 주도 중이며 배터리 기술력에서도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 받는 Tesla의 목표는 ‘차세대 저비용 고성능 배터리’

를 ‘대량 양산’해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셀을 자사 전기차에 적용하는 것

– 배터리 수직계열화를 통해 값싸고 품질 좋은 배터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Tesla의 행보는 다른 배터리 업체들 입장에서는 불

편한 상황

–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업체에 요구하는 사항은 명확. ① 주행 거리

향상, ② 충전 시간 단축, ③ 저온 성능 개선, ④ 수명 증가, ⑤ 배터리 가격

하락.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중장기 기술 Roadmap상 계획하고 있는 소재

단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완성차 업체들의 요구 사항은 명확하다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40: Underweight EM Equity

40

Secondary-Microsphere

Single-Crystalline

양극활물질은 중장기적으로 ‘High-nickel 단결정 양극재’ 적용될 전망

– 궁극적인 양극활물질의 기술 변화는 High-nickel을 넘어서 배터리의 수명 개선을 위해 단결정 양극재를 적용하는 것

– 일반적으로 양극재는 알루미늄 극판 위에 분말 형태로 코팅하여 압연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후 배터리 사용 과정에서 다결정 양극재의 경우 SEI 층의 형성과 파괴가 반복되며 배터리 수명이 급격히 감소. 반면 단결정 양극재는 SEI 층의 두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수명이 훨씬 길다는 장점 보유

자료: Advanced Energy Materials, Nano Energy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그림32. 단결정 양극재는 부서지는 잔해물, 불순물이 없기 때문에 수명 향상, 에너지 밀도 증가, 가공비 절감 등의 효과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41: Underweight EM Equity

41

Graphite (LiC6)

Silicon (Li4.4Si)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저결정탄소 실리콘 기반

구조 형상

원료 천연 흑연 Pitch/Cokes Pitch/Cokes, 열경화수지 SiOx, Si 탄소 복합계

용량(mAh/g) 350~370 270~360 200~300 800~1,600

ICE 90~93% 92~95% 80~90% 73~87%

출력 하 중 상 중

수명 상 상 중 하

가격($/kg) 7~12 4~10 8~12 40~150

장점 고용량 고수명 고출력 고용량

국내 제조사 포스코케미칼, 애경유화 포스코케미칼 애경유화 대주전자재료, 한솔케미칼

해외 제조사BTR, Shanshan,

Hitachi, Nippon carbon

Hitachi, JFE, Mitsubishi,BTR, Nippon carbon,Showa denko, Tokai

carbon

Nippon Carbon, Hitachichemical, JFE, Kureha

BTR, Shinetsu, OTC,Hitachi chemical

표9. 주요 음극활물질 종류별 구조 및 특성

자료: 산업자료, 대주전자재료, 하이투자증권

– 리튬 배터리에서 양극활물질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던 반면, 양극재에서 높은 에너지를 생성하더라도 이를 저장하는 장소

인 음극재가 균형 있게 받쳐주지 않는다면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음. 특히 충전시 음극재가 리튬이온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어야 충전 시간

개선 가능

– 음극활물질은 오래 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하게 흑연(Graphite)이 가장 많이 사용. 흑연의 뒤를 이을 소재로 실리콘(Si)이 부각. 배터리의 음극 내

에서 흑연은 리튬이 6개의 탄소 원자에 포위된 LiC6(Li+6C=LiC6) 형태로 저장돼 있으며, 실리콘은 리튬이온과 결합해 Li22Si5

(22Li+5Si=Li22Si5)로 형성

1-1. 실리콘 음극활물질 효과 - ① 에너지 밀도 향상, ② 충전 시간 단축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42: Underweight EM Equity

42

단상 AC 단상 AC 단상 AC 3상 AC 3상 AC 50kW DC 100kW DC120kW DC

(Tesla)

0-100% 0-100% 0-100% 0-100% 0-100% 10-80% 10-80% 10-80%

10A(2.4kW<)

16A(3.7kW<)

32A(7.7kW<)

16A(11kW<)

32A(22kW<)

- - -

~12km/h ~20km/h ~40km/h ~59km/h ~110km/h ~200km/h ~350km/h ~510km/h

차종 배터리 용량

BMW i3 42.2kWh 19h 30m 12h 15m 6h 15m 4h 15m - 40m - -

BMW i3s 42.2kWh 19h 30m 12h 15m 6h 15m 4h 15m - 40m - -

Hyundai Ioniq EV 28kWh 14h 30m 9h 0m 5h 0m - - 30m 20m -

Hyundai Kona EV 64kWh 32h 45m 20h 30m 10h 30m - - 60m 45m -

Jaguar I-Pace 90kWh 43h 30m 27h 0m 13h 30m - - 1h 30m 45m -

Nissan Leaf 40kWh 19h 30m 12h 15m 7h 0m - - 40m - -

Renault Zoe 41kWh 21h 0m 13h 15m 6h 45m 4h 30m 2h 15m - - -

Renault Kangoo 33kWh 16h 0m 10h 0m 5h 0m - - - - -

Tesla Model S LR 100kWh 48h 45m 30h 15m 15h 15m 10h 15m 7h 0m - - 40m

Tesla Model S Pfm. 100kWh 48h 45m 30h 15m 15h 15m 10h 15m 7h 0m - - 40m

Tesla Model X LR 100kWh 48h 45m 30h 15m 15h 15m 10h 15m 7h 0m - - 40m

Tesla Model X Pfm. 100kWh 48h 45m 30h 15m 15h 15m 10h 15m 7h 0m - - 40m

충전기 사양

배터리 충전 시작-목표량

충전 전력(P) 사양

1시간 충전시 주행 가능 거리

충전 시간

표10. 주요 차량별 충전 방식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간 추정치 비교

자료: Caradvice, 하이투자증권

– 충전시 음극재가 리튬이온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어야 충전 시간 단축도 가능. 다른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도심 내 전기차 사용자들의 더 큰 불만

은 주행거리가 아니라 긴 충전시간일 것. 현재 국내에서는 충전 공급 전력이 급속충전기가 50kW급, 완속충전기는 7kW급이 주를 이루고 있는

데 일반적인 가정에서 전기차 1시간 충전시 주행거리는 약 40km에 불과

– 1회 충전시 최대 주행거리가 충분히 길지 않더라도 배터리 충전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면 자주 충전이 가능한 도심 지역 내에서 사용하는데 큰

불만 해소 가능. 향후 배터리 업체들이 음극재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적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43: Underweight EM Equity

43

자료: J. Phys. Chem. C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 실리콘 음극활물질의 문제점 - ① 구조적 안정성, ② 실리콘 리튬화에 따른 SEI층의 과형성으로 인한 특성 및 수명 감소

1-2. 실리콘 음극활물질 적용시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실리콘 음극활물질 적용시의 해결해야 할 문제점 ① 충전시 큰 부피 팽창으로 인한 미분화(구조적 안정성 확보)

② Li trap SEI층의 과형성으로 인한 산화-환원 반응 제한

리튬화(Lithiation)

Page 44: Underweight EM Equity

44 자료: J. Phys. Chem. C, SCIENCE CHINA Materials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 대표적인 실리콘 음극활물질 적용 기술인 실리콘 산화물과 실리콘-탄소 복합체 방식

1-3. 실리콘 음극활물질의 팽창 문제를 잡자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① 실리콘 산화물(Oxide)

② 실리콘 –탄소 복합체

Page 45: Underweight EM Equity

45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자료: ACTA PHYSICA POLONICA A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자료: SCIENCE CHINA Materials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그림36. 실리콘-탄소 복합체로 음극재 적용시 에너지 용량 증가 그림35. 실리콘 음극재와 CNT 도전재 적용시 에너지 용량 증가

자료: 하이투자증권 자료: Porsche, 하이투자증권

그림34. 실리콘 음극활물질+CNT 도전재가 적용된 Porsche Tycan 그림33. 주요 실리콘 음극활물질 Supply chain

주요 Si 음극재 공급사 주요 배터리 제조사

*대주전자재료

한솔케미칼

BTR

Page 46: Underweight EM Equity

46

자료: Scientific Reports volume 7, Materials 2010, Current Opinion in Colloid & Interface Science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2-1. CNT 도전재의 핵심은 분산 기술이다

그림37. CNT(탄소나노튜브) 형태에 따른 분류

그림39. CNT가 물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분산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그림38. 계면활성제를 활용한 CNT(탄소나노튜브) 분산법

1. Cylindrical micelle

2. Hemimicelle 3. Random adsorption

>100nm0.5~1.5nm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자료: AIP Advances, Current Opinion in Colloid & Interface Science

하이투자증권

Page 47: Underweight EM Equity

47

활물질(양, 음)

Binder

활물질(양, 음)

Binder

도전재 사용량70~80% 감소

활물질 투입량 증가

배터리 용량 증가!

기존 도전재(Carbon black)

CNT 도전재Carbon NanotubeCarbon black

그림40. 양극재에 CNT 도전재를 사용할 경우 도전재 사용량을 1/5로 줄일 수 있어 체적 에너지 밀도 향상시키고, 수명을 개선

자료: NTP, 하이투자증권

– CNT 도전재를 양극재에 적용할 경우 기존 도전재인 카본블랙 대비 전자 이동도가 높아 사용량을 1/5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동일

성능을 구현할 수 있어 체적 에너지 밀도(Volumetric energy density)가 향상된다는 것. 또한 고가의 바인더 사용량 감소에도 도움. 특히 카본

블랙에 비해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어 고전압 고속 충전에도 유리. 기존 리튬 배터리의 화학적 물성 변화를 크게 일으키지 않아 쉽게 적용 가능

– 동일 부피 내에서 도전재, 바인더 사용량을 줄이고 NCM, NCA와 같은 양극활물질을 더 많이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생산 원가 절감 효과 기대

– CNT가 물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 우선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균일한 분산 기술. 일반적으로 CNT는 미세분말 상태라서 그 자체로는 사용

이 어려움. 따라서 우수한 특성들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용액에 물리적으로 분산시키거나 다른 소재와 복합체로 만들어 사

2-2. 양극재에 CNT 도전재 적용시의 효과 – ① 에너지 밀도 향상, ② 수명 개선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48: Underweight EM Equity

48

그림41. CNT 도전재가 실리콘 음극재의 팽창을 잡아주는 보완재로서 중요성 부각

표11. 주요 용매(Solvent)별 CNT 용해도 비교(α가 낮을수록, β, π가 높을수록 용해도 우수)

자료: J. Phys. Chem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 CNT 도전재를 음극재에 사용하면 더 많은 활성 사이트(Active site)를 제공해 에너지 용량을 높이고, 전기 전도도가 높은 CNT가 배터리 효율과

성능 향상. 특히 최근에는 대다수 중대형 배터리 업체들이 음극재에 실리콘을 첨가해 사용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추진하면서 CNT 도전재가 실리

콘 음극재의 팽창을 잡아주는 보완재로서 더욱 중요성이 부각

2-3. 음극재에 CNT 도전재 적용시 효과 – 실리콘 음극재 팽창 억제하여 안정성 향상

Solvents Hydrogen bond donating

parameter(α, ↓) Electron pair donicity(β, ↑)

Solvatochromic parameter(π, ↑)

용해도

N,N-Dimethylformamide - 0.710 0.875 ~50mg/L

N-Methyl pyrrolidone - 0.754 0.921 ~50mg/L

1-Butanol, (HBA-D) 0.732 0.850 0.503 <1

Ethanol, (HBA-D) 0.827 0.770 0.540 <1

Ethylene glycole 0.792 0.510 0.932 <1

Water 1.053 0.140 1.090 <1

Toluene - - 0.535 <1

p-Xylene - - 0.426 <1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49: Underweight EM Equity

49

자료: 천보, 하이투자증권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 전해질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전해질 5종 – LiFSI, LiPO2F2, LiDFOP, LiBOB, LiPF6

★ 전해액 첨가제

LiFSI

LiPO2F2

LiDFOP

LiBOB

LiPF6

배터리 안정성 향상 및 수명 연장 낮은 온도에서 배터리 방전 억제

배터리 수명 향상 및 고출력, 충전 시간 단축

배터리 수명 향상 및 고출력, 충전 시간 단축

배터리 고출력, 순간 출력 향상

소형 IT, 중대형 배터리 범용 전해질

배터리 열화 방지 및 수명 향상 배터리 안정성 향상 배터리 수명 향상 배터리 수명 향상

3-1. 신규 전해질/첨가제 효과 - ① 배터리 수명 향상, ② 충방전 효율 개선, ③ 저온 방전 억제

– 향후 배터리 자체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소재로서 분리막과 함께 전해액(전해질)의 기술 중요성 부각될 것으로 전망

Page 50: Underweight EM Equity

50

그림42. LiPF6만 추가된 배터리 경우 충방전능력이 설계용량 대비 60% 수준으로 감소하는 반면, LiFSI 추가시 80% 이상으로 유지

그림43. -20℃의 저온에서 평가시 LiFSI를 전해질로 첨가한 배터리의 방전 억제율이 LiPF6만 추가된 배터리 대비 향상

자료: Nippon Shokubai, 하이투자증권 자료: Nippon Shokubai, 하이투자증권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3-2. 신규 전해질 - LiFSI(F 전해질)

Page 51: Underweight EM Equity

51

그림45. 배터리 충전시 고전류가 사용될수록 LiPF6의 충/방전 효율 급격히 악화. 반면 LiPF6에 더해 LiPO2F2(LiDFP)를 추가했을 경우 고전류에도 충/방전 효율이 LiPF6가 단독으로 사용된 배터리 대비 매우 양호한 모습 확인

자료: RSC Advances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그림44. LiPF6만 전해질로 사용된 배터리의 경우 충방전이 반복됨 에 따라 방전능력이 현저히 감소하나, LiPO2F2(LiDFP)가 첨가된 배터리 의 경우 방전능력 유지

– LiPO2F2(P 전해질)는 첨가제 형태로 1-2% 소량 사용되는데, 적은 용

량에도 배터리 성능 개선에 크게 기여

– LiPF6와 LiDFP의 혼합체를 NCM811 배터리에 전해질로 적용한 연

구 결과에 따르면 LiPO2F2가 ① 전해질의 점도를 낮추어 이온 전도도

를 향상시키고, ② 높은 전압에서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시키며, ③ 전

해질의 분해속도를 지연. 이러한 성능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음극의

산화 방지 효과도 갖추고 있어 LiPF6와 더불어 주요 범용 전해질로 사

3-2. 신규 전해질 - LiPO2F2(P 전해질)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52: Underweight EM Equity

52

3-2. 신규 전해질 - LiDFOP(D 전해질), LIBOB(B 전해질)

자료: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논문 인용, 하이투자증권

자료: 천보, 하이투자증권

– LiDFOP(D 전해질)도 첨가제 형태로

5% 첨가 되었을 때 효율이 가장 우수

한데, ① 배터리 수명 향상, ② 출력 개

선 및 ③ 충전시간 단축, ④ 고온 안정

성 개선의 효과기대할 수 있음. 전극

표면에 SEI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

다는 점이 수명 개선의 주요 이유

– LiPF6에 더해 LiDFOP(WCA2)를 첨

가하였을 때 배터리 수명이 급격히 개

선되는 모습 확인

– LIBOB(B 전해질)은 LiPF6와 혼용되

었을 때 ① 배터리 안정성 개선, ② 상

온 및 저온 출력 증대 및 ③ 순간 출력

향상, ④ 수명 개선의 효과 기대

– 관련 논문에 따르면 LiBOB 추가에 따

른 SEI 형성으로 인해 ① 전해질 분해

가 억제되며, ② 활성 산소에 의한 용

매 분해가 억제되고, ③ 충전시의 산

화 리튬 형성을 방지하며, ④ 망간/니

켈/코발트의 용해 억제하여 배터리 수

명 개선 가능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Page 53: Underweight EM Equity

53

단위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백만대 5.1 7.2 9.7 14.7 22.7 34.1 48.4 65.3

백만대 2.0 2.1 2.5 5.0 8.0 11.5 14.3 16.9

% 72.0% 4.1% 21.6% 100.0% 60.0% 43.1% 24.5% 18.6%

GWh 84.0 95.8 138 305 534 830 1,114 1,419

KWh/대 37.0 40.5 48.0 53.0 58.0 63.0 68.0 73.0

ΔKWh/대 3.5 7.5 5.0 5.0 5.0 5.0 5.0

GWh 12.0 14.5 17.0 32.2 47.4 62.6 77.8 93.0

GWh 67.0 70.0 73.0 78.4 83.8 89.2 94.6 100

십억USD 15.0 15.0 15.0 31.7 53.4 83.0 108.1 133.4

USD/KWh 177.9 156.1 108.3 104.2 100.0 100.0 97.0 94.0

ΔUSD/KWh -21.8 -47.8 -4.2 -4.2 0.0 -3.0 -3.0

십억USD 3.3 3.9 4.5 8.4 12.1 15.6 19.0 22.3

USD/KWh 275.0 269.0 264.7 259.7 254.7 249.7 244.7 239.7

ΔUSD/KWh -6.0 -4.3 -5.0 -5.0 -5.0 -5.0 -5.0

십억USD 8.0 8.5 9.0 9.5 10.0 10.5 10.9 11.3

USD/KWh 119.4 121.4 123.3 121.3 119.3 117.3 115.3 113.3

ΔUSD/KWh -2.0 -1.9 -2.0 -2.0 -2.0 -2.0 -2.0

EV

ESS

IT

EV

ESS

IT

시장규모

EV

(BEV+

PHEV)

LIB

판매량

수요

수요

누적 판매량

판매량 YoY%

구분

자료: 하이투자증권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하이투자증권 전기차 산업 모델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0

2

4

6

8

10

12

14

16

18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GWh)(백만대)전세계 전기차(BEV+PHEV) 판매량(좌)

전세계 전기차 배터리 수요(우)

0

4

8

12

16

20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기발표된 각국의 전기차 관련 정책 기반 Scenario

EV30@30 Scenario(백만대)

Page 54: Underweight EM Equity

54

자료: 하이투자증권

2025년 첨가제 시장 규모 전망 - 실리콘 음극재 6.1조원, CNT 도전재 3.7조원까지 성장 예상

자료: 하이투자증권

자료: 하이투자증권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그림47. CNT 도전재 시장 규모 전망치(非Tesla 기준)

그림46. 실리콘 음극재 시장 규모 전망치(非Tesla 기준)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십억원)실리콘 음극재 시장 규모 하이투자증권 전망치(非테슬라 기준)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십억원)CNT 도전재 시장 규모 하이투자증권 전망치(非테슬라 기준)

단위 2018 2019 2020F 2021F 2022F 2023F 2024F 2025F

백만대 0.5 0.9 1.4 2.1 3.1 4.6 6.5 9.3

백만대 0.2 0.4 0.5 0.7 1.0 1.4 2.0 2.8

% 138% 50% 40% 40% 40% 40% 40% 40%

평균 kWh 80.0 61.1 61.7 64.0 67.5 70.9 75.4 80.0

출하량 GWh 22.6 25.8 36.5 53.1 78.3 115 172 255

백만대 4.6 6.3 8.2 12.5 19.5 29.6 41.8 56.0

백만대 1.7 1.7 2.0 4.3 7.0 10.0 12.3 14.1

% 61% 37% 32% 52% 56% 51% 42% 34%

평균 kWh 35.5 41.4 51.1 58.8 65.1 71.2 76.8 82.4

출하량 GWh 61.5 69.9 101 252 455 714 943 1,164

음극 SI첨가제 백만USD 0.0 3.5 12.8 27 584 1,741 3,274 5,120

전체 백만USD 0.0 2.0 7.3 31.7 326 1,068 2,008 3,140

양극 백만USD 0.0 1.0 3.7 22.7 156 532 1,000 1,564

음극 백만USD 0.0 1.0 3.7 9.1 171 536 1,008 1,576

음극 SI첨가제 억원 0.0 41.8 151 322 6,920 20,630 38,794 60,672

전체 억원 0.0 23.9 86.6 376 3,869 12,653 23,794 37,213

양극 억원 0.0 11.9 43.3 268 1,845 6,304 11,854 18,539

음극 억원 0.0 11.9 43.3 107.4 2,023 6,350 11,940 18,674

음극 Si첨가제 % 0% 0% 1% 1% 15% 30% 45% 60%

양극 % 0% 0% 1% 3% 12% 28% 41% 55%

음극 % 0% 0% 1% 1% 13% 25% 38% 50%

kg/kWh 0.1 0.1 0.1 0.1 0.1 0.1 0.1 0.1

USD/kg 75.0 75.0 75.0 75.0 71.3 67.7 64.3 61.1

kg/kWh 0.3 0.3 0.3 0.3 0.3 0.3 0.3 0.3

USD/kg 10.0 10.0 10.0 10.0 9.5 9.0 8.6 8.1

kg/kWh 0.3 0.3 0.3 0.3 0.3 0.3 0.3 0.3

USD/kg 10.0 10.0 10.0 10.0 10.0 10.0 9.5 9.0

Tesla/非Tesla

구분

非TeslaLIB

첨가제

시장규모

구분

누적 판매량

판매량

판매량 YoY%

배터리

Tesla

CNT

단위투입량및

판매단가

음극

非Tesla침투율가정 CNT

CNT

배터리

非Tesla

CNT

누적 판매량

판매량

판매량 YoY%

Si첨가제음극

양극

Page 55: Underweight EM Equity

55

2020. 12. 16. 종가 기준 시가총액 (백만$)

주가 (원) PER (배) PBR (배) EV/EBITDA (배) ROE (배) 영업이익률 EPS 성장률

구분 종목명 국가 통화 종가 1M% YTD% 20 21 20 21 20 21 20 21 20 21 20 21

배터리셀

삼성SDI 한국 KRW 35,515 564,000 16.2 139.0 52.6 27.3 2.2 2.0 18.5 13.5 4.1 7.5 5.6% 8.0% 42.5% 100.1%

LG화학 한국 KRW 52,943 819,000 21.0 158.0 48.4 27.6 2.2 2.1 12.6 9.6 4.5 7.6 6.4% 7.2% 279.4% 47.2%

SK이노베이션 한국 KRW 16,003 189,000 21.5 26.0 #N/A 20.2 0.8 0.8 #N/A 8.8 -8.9 3.7 -4.3% 2.7% 적지 흑전

CATL 중국 CNY 102,057 286 12.2 168.9 77.3 59.6 8.7 7.7 37.2 28.7 12.4 14.4 13.1% 13.2% 8.3% 35.9%

BYD 중국 HKD 69,078 180.9 0.6 365.6 65.4 57.5 3.0 2.9 17.5 15.7 4.3 5.1 5.9% 5.6% 155.8% 6.7%

Wanxiang Qianchao 중국 CNY 2,894 5.7 -9.2 6.5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Gotion High-tech 중국 CNY 6,246 31.9 9.5 118.9 61.4 56.7 3.4 3.2 28.0 25.8 5.0 4.8 9.0% 10.7% 620.0% 20.8%

Eve Energy 중국 CNY 20,198 69.8 4.7 164.6 41.7 32.8 9.4 7.6 39.8 30.5 22.2 22.4 22.7% 25.1% 36.2% 45.2%

Panasonic 일본 JPY 28,262 1,190 8.2 15.6 18.0 11.7 1.1 1.0 6.4 5.4 6.3 9.1 2.4% 3.9% -14.0% -48.4%

GS Yuasa 일본 JPY 2,207 2,757 25.4 16.6 12.1 11.5 0.8 0.7 5.6 5.4 6.8 7.0 4.5% 4.8% -11.2% -19.9%

양극재

엘앤에프 한국 KRW 1,837 71,500 72.1 237.9 146.7 45.5 6.3 5.6 42.1 22.5 5.7 15.1 1.7% 5.8% 흑전 400.4%

에코프로 한국 KRW 961 47,500 10.3 111.6 21.8 11.0 2.3 1.9 9.6 6.1 12.1 20.2 8.9% 9.1% 89.5% 76.6%

에코프로비엠 한국 KRW 3,032 157,400 9.9 197.0 71.9 37.1 8.1 6.7 34.9 20.1 12.0 19.4 6.7% 7.8% 11.9% 74.8%

코스모신소재 한국 KRW 475 17,750 21.6 99.4 34.6 23.1 2.4 2.2 16.9 12.6 7.3 10.1 5.2% 5.9% 흑전 72.4%

포스코케미칼 한국 KRW 5,809 104,000 39.2 125.0 65.9 40.1 4.6 4.2 32.2 21.9 6.9 10.9 4.2% 6.3% -51.6% 137.6%

Easpring Material 중국 CNY 3,604 53.9 7.9 97.4 48.2 35.1 4.6 4.1 37.0 24.8 9.4 11.6 12.2% 11.6% 흑전 44.9%

Baoan 중국 CNY 2,694 6.8 -12.8 10.2 68.8 52.6 #N/A #N/A #N/A #N/A 5.9 7.2 11.2% 13.1% 11.3% 30.8%

Intretech 중국 CNY 4,541 64.7 -4.1 47.2 24.5 19.6 5.5 4.5 19.0 15.5 21.6 22.4 28.3% 28.8% 13.4% 25.0%

Sumitomo Metal 일본 JPY 12,555 4,460 18.9 25.8 19.0 12.2 0.8 0.8 13.5 10.2 4.4 6.5 5.7% 9.5% -17.1% -4.9%

Tanaka 일본 JPY 405 1,285 48.6 48.7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흑전 #N/A

Nichias 일본 JPY 1,623 2,472 7.4 -11.2 12.0 10.2 1.1 1.1 6.3 5.6 9.8 10.7 9.0% 10.0% -2.6% -14.7%

Mitsui 벨기에 EUR 11,733 39.0 9.8 -10.0 40.2 30.8 3.8 3.5 17.0 13.9 10.4 12.3 3.2% 4.0% -3.7% -32.0%

음극재

Umicore SA 일본 JPY 31,929 1,921 4.9 -1.3 11.2 8.0 0.7 0.6 15.0 13.5 6.4 7.9 13.8% 15.9% -4.9% 30.4%

대주전자재료 한국 KRW 650 46,700 10.3 162.4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흑전 #N/A

Ningbo Shanshan 중국 CNY 3,927 15.8 20.4 69.0 49.7 39.3 1.7 1.6 21.3 17.2 3.5 3.6 4.9% 5.2% 34.7% 51.1%

Tokai Carbon 일본 JPY 2,687 1,234 1.5 12.7 12.2 9.7 0.9 0.8 5.7 5.2 13.3 #N/A 10.4% 14.0% -85.7% 233.6%

Nippon Carbon 일본 JPY 464 4,055 8.3 -1.2 7.2 6.0 #N/A #N/A 3.8 3.5 #N/A #N/A 20.7% 21.0% -68.4% 45.7%

Showa Denko 일본 JPY 3,232 2,230 14.8 -23.1 9.8 6.1 0.7 0.6 3.6 3.1 9.6 12.3 3.6% 5.3% 적전 흑전

Suido Kiko Kaisha 일본 JPY 87 2,093 -0.3 -19.1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흑전 #N/A

자료: Bloomberg, 하이투자증권

Appendix. Global 이차전지 Peer group Valuation table

Page 56: Underweight EM Equity

56 자료: Bloomberg, 하이투자증권

Appendix. Global 이차전지 Peer group Valuation table

2020. 12. 16. 종가 기준 시가총액 (백만$)

주가 (원) PER (배) PBR (배) EV/EBITDA (배) ROE (배) 영업이익률 EPS 성장률

구분 종목명 국가 통화 종가 1M% YTD% 20 21 20 21 20 21 20 21 20 21 20 21

음극재 Hitachi Ltd 일본 JPY 39,171 4,181 8.0 -9.6 7.5 7.6 1.0 0.9 5.8 4.4 12.7 11.7 #N/A #N/A 흑전 #N/A

전해액

솔브레인 한국 KRW 1,817 255,100 5.9 #VALUE! #N/A #N/A #N/A #N/A #N/A #N/A #N/A #N/A 5.2% 7.3% 4.5% 347.6%

Tinci 중국 CNY 7,869 94.1 20.4 354.5 60.1 53.3 6.7 6.1 32.1 32.6 10.4 12.6 #N/A #N/A #N/A #N/A

Capchem 중국 CNY 6,587 104.7 21.3 188.1 47.4 37.3 5.9 5.2 36.5 30.6 12.5 14.0 18.4% 15.2% 3553.3% 7.4%

Stella Chemifa 일본 JPY 432 3,380 6.0 5.0 13.8 10.9 #N/A #N/A #N/A #N/A 6.2 #N/A 18.6% 18.4% 39.8% 26.5%

전해질 후성 한국 KRW 869 10,250 2.0 25.5 107.5 22.1 3.5 3.0 20.6 11.8 7.4 14.5 10.1% 12.0% #N/A #N/A

천보 한국 KRW 1,612 176,000 6.5 185.7 31.7 22.9 4.2 3.8 19.9 13.7 15.0 18.0 3.8% 13.2% -43.7% 599.0%

일렉포일

일진머티리얼즈 한국 KRW 2,099 49,700 7.8 16.3 40.7 28.3 3.9 3.4 21.8 15.2 10.1 12.9 19.9% 21.4% 25.1% 48.5%

두산솔루스 한국 KRW 1,359 48,500 22.9 138.3 44.5 23.1 8.2 6.1 22.6 10.5 17.5 23.8 10.1% 11.9% 27.3% 42.1%

Furukawa 일본 JPY 2,014 2,945 18.3 4.4 14.9 11.4 0.7 0.7 9.5 7.2 5.3 6.6 12.8% 16.4% #N/A 81.0%

부품

상아프론테크 한국 KRW 639 44,400.0 6.5 191.1 34.5 28.3 2.8 2.6 20.0 16.5 8.4 9.6 1.3% 3.0% -47.9% 19.9%

신흥에스이씨 한국 KRW 310 48,500.0 19.2 26.5 15.5 10.9 2.2 1.8 10.0 7.6 15.1 18.0 7.8% 9.5% -11.8% 39.8%

상신이디피 한국 KRW 157 13,100.0 -0.4 58.8 #N/A #N/A #N/A #N/A #N/A #N/A #N/A #N/A 8.2% 8.3% 16.7% 31.8%

리튬

Tianqi Lithium 중국 CNY 7,099 31.4 38.3 4.0 76.5 33.1 3.5 3.3 27.1 20.7 2.1 6.3 #N/A #N/A #N/A #N/A

Ganfeng Lithium 중국 CNY 16,261 83.2 6.0 138.7 96.1 57.2 8.6 7.7 57.6 35.8 8.9 13.8 35.5% 42.7% 적지 흑전

Albemarle 미국 USD 14,685 137.9 7.0 88.9 23.2 18.2 2.1 1.9 15.7 13.0 9.4 10.8 14.5% 22.1% 83.2% 94.5%

Sociedad Quimica 칠레 CLP 10,306 24,500.0 4.8 22.5 11.4 9.3 13.2 15.3 16.0% 17.8% -30.3% 21.2%

FMC 미국 USD 14,921 115.0 2.7 15.2 16.1 14.1 4.4 4.3 13.0 11.9 30.0 30.2 #N/A #N/A #N/A #N/A

코발트

Hanrui Cobalt 중국 CNY 3,361 72.5 -2.8 -12.1 37.3 34.1 9.4 8.0 19.0 13.3 21.1 25.7 23.9% 24.8% 78.2% 12.7%

Huayou Cobalt 중국 CNY 10,363 59.3 14.8 50.5 65.5 37.1 5.7 4.8 29.1 20.7 8.7 13.2 14.9% 18.7% 2002.0% 90.7%

Molybdenum 중국 CNY 14,600 4.7 0.6 6.7 48.9 36.3 2.2 2.1 16.9 14.6 4.3 6.0 5.2% 6.9% 555.5% 63.0%

분리막

Mingzhu Plastic 중국 CNY 1,014 4.7 -8.4 19.4 #N/A #N/A #N/A #N/A #N/A #N/A 8.0 #N/A 2.4% 4.1% -1.1% 56.2%

Senior Tech. 중국 CNY 2,080 30.3 22.1 79.3 32.2 25.4 3.3 2.9 34.2 21.9 8.5 10.8 11.3% 12.4% 62.3% 10.5%

Sumitomo 일본 JPY 6,602 412 8.7 -17.3 14.7 8.0 0.6 0.6 9.6 7.9 4.1 7.5 12.2% 15.7% 6.6% 95.7%

Asahi Kasei 일본 JPY 14,026 1,040 6.4 -15.8 14.4 11.0 0.9 0.8 7.2 6.1 5.9 7.8 3.6% 4.9% -0.9% -13.5%

W-Scope 일본 JPY 353 849 22.3 -17.1 8.4 5.4 1.5 1.2 5.3 4.2 30.9 35.1 6.7% 7.5% 21.9% -31.0%

Toray 일본 JPY 9,837 623 15.6 -15.9 21.7 13.7 0.7 0.7 8.9 7.6 3.5 4.8 16.5% 18.2% 적지 흑전

Nippon Kodoshi 일본 JPY 296 2,792 32.2 82.6 18.1 12.8 0.7 0.7 5.6 4.7 4.0 #N/A 3.4% 4.5% 13.2% -44.3%

전기차 Tesla 미국 USD 600,258 633 55.2 656.9 355.3 116.8 25.6 18.9 72.0 45.9 3.1 18.4 8.6% 10.4% #N/A #N/A

Page 57: Underweight EM Equity

C O N T E N T S

3

5

8

9

23

36

57

58

63

68

Ⅰ. Summary

Ⅱ. Key Chart

Ⅲ. 2021년 이차전지 산업 전망

1.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2. Tesla의 무게 중심은 ‘공정 혁신’

3. 국내 업체들이 가야 할 길, ‘소재 혁신’에 답이 있다

Ⅳ. 기업 분석

-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Page 58: Underweight EM Equity

58

FY 2019 2020E 2021E 2022E

매출액(십억원) 10,097 11,684 14,318 17,057

영업이익(십억원)) 462 761 1,318 1,653

순이익(십억원) 357 604 1,017 1,288

EPS(원) 5,066 8,587 14,444 18,295

BPS(원) 175,114 183,205 198,000 216,490

PER(배) 46.0 65.7 39.0 30.8

PBR(배) 1.3 3.1 2.8 2.6

ROE(%) 2.9 4.8 7.6 8.8

배당수익률(%) 0.4 0.2 0.2 0.2

EV/EBITDA(배) 14.0 22.8 16.3 13.7

주: K-IFRS 연결 요약 재무제표

Buy(Maintain)

목표주가(12M) 690,000원(상향)

종가(2020/12/16) 564,000원

상승여력 22.3%

Stock Indicator

자본금 357십억원

발행주식수 6,876만주

시가총액 38,783십억원

외국인지분율 43.7%

52주 주가 183,000~566,000원

60일평균거래량 433,230주

60일평균거래대금 211.7십억원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16.2 25.5 50.0 141.5

상대수익률 7.2 11.7 20.4 113.7

Price Trnd

[투자 Point]

■ 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 4Q20 자동차 전지 부문의 의미 있는 흑자전환 예상

- 계절적 성수기인 4분기에도 중대형 전지와 반도체, OLED 소재 중심의 전자재료 부문 매출 확대로 가파른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

- 특히 중대형 전지의 매출 증가폭이 약 55%에 달하며 상당히 클 것. 자동차 전지는 유럽 고객사 중심 판매 확대, ESS 부문은 북미 전력용 중심의 공급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 향후 주가에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는 중대형 및 자동차 전지 부문의 의미 있는 흑자전환 가능성에 주목. 이를 반영한 4Q20 실적은 매출액 3.6조원(YoY: +29%, QoQ: +18%), 영업이익 3,360억원(YoY: +1568%, QoQ: +26%) 기록할 것으로 추정

> 2021년 영업이익 1.32조원(YoY: +73%)에 달할 것으로 전망

- 동사는 2021년에 지금보다 한 단계 발전된 Gen5 배터리 출시할 계획.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High-nickel NCA 양극재가 적용되며, 배터리 내부 소재(양극재, 전해질, 분리막, 음극재) 생산 공정이 기존 Winding 방식에서 쌓아 올리는 형태인 Stacking 방식으로 변경. 이를 통해 에너지 밀도는 20% 이상 증가하면서도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통해 큰 폭의 외형 성장과 뚜렷한 손익 개선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

- 21년 동사의 중대형 전지 연간 손익 개선폭이 약 3,4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연간 영업이익도 사상 최대인 1.32조원(YoY: +73%)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0.94

1.14

1.34

1.54

1.74

1.94

2.14

146.4

196.4

246.4

296.4

346.4

396.4

446.4

496.4

546.4

596.4

Dec Feb Apr Jun Aug Oct Dec

삼성SDI

Price(좌) Price Rel. To KOSPI

000'S

(2019/12/16~2020/12/16)

Page 59: Underweight EM Equity

59

SOTP(Sum Of the Parts) Valuation

구분 20년 예상 EBITDA

21년 예상 EBITDA

EV/EBITDA Target multiple

가치 비고

영업가치 삼성SDI 1,735 2,455 19.7 x 48,355 2021년 Battery Peer gourp 평균 (십억원) 합계 1,735 2,455 48,355 (A)

구분 금액 할인율 가치 비고

투자유가증권 상장주식 646 30% 452 전일 종가 기준 (십억원) 비상장주식 246 30% 172 3Q20 장부가 기준

합계 892 624 (B)

구분 장부가 기준 할인율 가치 비고

지분법주식(십억원) 삼성디스플레이 4,837 40% 2,902 3Q20 장부가 기준

순차입금(십억원) 3,523 4,285 4,285 2021년 예상 순차입금 (D)

기업가치(십억원) 30,122 42,937 (E)=(A)+(B)+(C)-(D)

주식수(천주) 68,765 우선주 제외

주당 기업가치(원) 485,925 692,159 (F)=(E)/주식수

목표 주가(원) 690,000 2021년 예상 주당 기업가치

현재 주가 (원) 564,000 2021년 예상 실적 기준 P/B 2.2배

상승 여력 22.3%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표1. 삼성SDI 목표주가 산출

자료: 하이투자증권

> 목표주가 690,000원으로 상향 조정, 매수 투자의견 유지

–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690,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 유지. 목표주가는 전기차 시장의 높은 성장성을 반영해 21년 예상

EBITDA에 전세계 동종 업종 평균 EV/EBITDA인 19.7배를 적용하고,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가치를 반영한 SOTP 방식을 통해 산출

– 최근 각국 정부들은 COVID-19 이후 경기부양 대책 일환으로 그린뉴딜 기조를 강조하며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한 지원 정책 전략을 더욱

강화 중. 이를 계기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고에너지밀도, 장수명, 고속충전, 안정성 등 특성이 강화된 배터리 채택을 위한 준비를 더욱 가

속화할 것으로 예상

– 21년 국내 배터리 업체 중 가장 보수적인 투자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는 동사의 추가적인 중대형 배터리 Capa. 증설 가능성에 주목. 중대형

배터리 부문의 큰 폭의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세가 중장기적인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판단되는 바 동사에 대한 긍정적 시각 유지

Page 60: Underweight EM Equity

60

표2. 삼성SDI 분기별 실적 추이 및 전망

자료: 삼성SDI, 하이투자증권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1. 심성SDI 12개월 Forward P/E Chart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2. 삼성SDI 12개월 Forward P/B Chart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단위: 십억원)

1Q20 2Q20 3Q20 4Q20F 1Q21F 2Q21F 3Q21F 4Q21F 2019 2020F 2021F

매출액 2,398 2,559 3,087 3,641 3,232 3,443 3,742 3,900 10,097 11,684 14,318

전지 사업부 1,795 1,920 2,383 2,939 2,530 2,729 2,990 3,150 7,721 9,045 11,475

소형2차전지 811 926 1,207 1,115 1,027 1,054 1,111 1,080 4,431 4,068 4,348

자동차전지 719 666 878 1,281 1,121 1,230 1,378 1,434 2,318 3,543 5,162

ESS 265 328 298 543 382 445 502 636 972 1,435 1,965

전자재료 사업부 602 638 704 702 703 714 752 750 2,378 2,646 2,919

YoY 4% 6% 20% 29% 35% 35% 21% 7% 10% 16% 23%

QoQ -15% 7% 21% 18% -11% 7% 9% 4% - - -

영업이익 54 104 267 336 257 304 369 388 462 761 1,318

전지 사업부 -41 8 143 201 132 180 227 239 288 302 749

소형2차전지 20 71 146 109 103 113 134 117 482 335 439

자동차전지 -50 -63 -6 44 15 44 57 65 -219 -74 180

ESS -11 0 4 48 13 23 36 57 25 41 130

전자재료 사업부 93 96 124 135 123 124 143 149 374 447 538

YoY -55% -34% 61% 1568% 377% 192% 38% 16% -35% 65% 73%

QoQ 168% 92% 158% 26% -23% 18% 22% 5% - - -

영업이익률 2% 4% 9% 9% 8% 9% 10% 10% 5% 7% 9%

전지 사업부 -2% 0% 6% 7% 5% 7% 8% 8% 4% 3% 7%

소형2차전지 2% 8% 12% 10% 10% 11% 12% 11% 11% 8% 10%

자동차전지 -7% -9% -1% 3% 1% 4% 4% 5% -9% -2% 3%

ESS -4% 0% 1% 9% 3% 5% 7% 9% 3% 3% 7%

전자재료 사업부 15% 15% 18% 19% 17% 17% 19% 20% 16% 17% 18%

지분법 관련 손익 -31 35 51 166 71 75 82 85 179 222 314

세전이익 -10 86 298 526 307 356 426 448 565 900 1,537

당기순이익 1 48 241 372 229 275 320 306 402 662 1,130

당기순이익률 0% 2% 8% 10% 7% 8% 9% 8% 4% 6% 8%

YoY -99% -70% 11% 흑전 31385% 476% 33% -18% -46% 64% 71%

QoQ -102% 6447% 405% 55% -38% 20% 17% -4% - - -

-1,500

-1,000

-500

0

500

1,000

1,500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25.0x

30.0x

35.0x

40.0x

45.0x

(원)

영업이익 (우)

-15%

-10%

-5%

0%

5%

10%

15%

20%

25%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0.5x

1.0x

1.5x

2.0x

2.5x

(원)

ROE (우)

Page 61: Underweight EM Equity

61

K-IFRS 연결 요약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단위:십억원) 포괄손익계산서 (단위:십억원,%)

2019 2020E 2021E 2022E 2019 2020E 2021E 2022E 유동자산 5,181 5,990 7,271 7,943 매출액 10,097 11,684 14,318 17,057 현금 및 현금성자산 1,156 1,454 1,881 1,681 증가율(%) 10.3 15.7 22.5 19.1 단기금융자산 136 129 136 129 매출원가 7,882 9,197 11,091 13,186 매출채권 1,954 2,171 2,716 3,202 매출총이익 2,215 2,487 3,227 3,870 재고자산 1,708 1,997 2,313 2,693 판매비와관리비 1,682 1,646 1,819 2,116 비유동자산 14,671 15,925 16,935 17,912 연구개발비 71 80 89 100 유형자산 5,427 6,408 7,156 7,705 기타영업수익 - - - - 무형자산 831 806 794 801 기타영업비용 - - - - 자산총계 19,852 21,914 24,206 25,856 영업이익 462 761 1,318 1,653 유동부채 3,742 3,692 3,822 4,045 증가율(%) -35.4 64.6 73.3 25.4 매입채무 1,463 1,602 1,717 1,925 영업이익률(%) 4.6 6.5 9.2 9.7 단기차입금 1,315 1,315 1,315 1,315 이자수익 18 22 28 26 유동성장기부채 452 452 452 452 이자비용 82 99 129 123 비유동부채 3,450 4,935 5,943 5,935 지분법이익(손실) 179 222 314 401 사채 589 589 589 589 기타영업외손익 -7 -37 -22 -29 장기차입금 1,236 2,736 3,736 3,736 세전계속사업이익 565 900 1,537 1,932 부채총계 7,192 8,627 9,765 9,980 법인세비용 162 239 407 512 지배주주지분 12,325 12,894 13,936 15,237 세전계속이익률(%) 5.6 7.7 10.7 11.3 자본금 357 357 357 357 당기순이익 402 662 1,130 1,420 자본잉여금 5,002 5,002 5,002 5,002 순이익률(%) 4.0 5.7 7.9 8.3 이익잉여금 6,907 7,444 8,394 9,615 지배주주귀속 순이익 357 604 1,017 1,288 기타자본항목 -345 -345 -345 -345 기타포괄이익 139 32 92 81 비지배주주지분 335 393 506 638 총포괄이익 541 694 1,221 1,501 자본총계 12,660 13,287 14,441 15,875 지배주주귀속총포괄이익 479 634 1,099 1,361 현금흐름표 (단위:십억원) 주요투자지표

2019 2020E 2021E 2022E 2019 2020E 2021E 2022E 영업활동 현금흐름 923 931 1,388 1,842 주당지표(원) 당기순이익 402 662 1,130 1,420 EPS 5,066 8,587 14,444 18,295 유형자산감가상각비 763 1,019 1,253 1,450 BPS 175,114 183,205 198,000 216,490 무형자산상각비 93 75 52 33 CFPS 17,228 24,128 32,978 39,375 지분법관련손실(이익) 179 222 314 401 DPS 1,000 1,000 1,000 1,000 투자활동 현금흐름 -1,535 -1,914 -1,809 -1,919 Valuation(배) 유형자산의 처분(취득) -1,879 -2,000 -2,000 -2,000 PER 46.0 65.7 39.0 30.8 무형자산의 처분(취득) -3 -50 -40 -40 PBR 1.3 3.1 2.8 2.6 금융상품의 증감 -8 291 433 -206 PCR 13.5 23.4 17.1 14.3 재무활동 현금흐름 239 1,422 922 -78 EV/EBITDA 14.0 22.8 16.3 13.7 단기금융부채의증감 - - - - Key Financial Ratio(%) 장기금융부채의증감 23 - - - ROE 2.9 4.8 7.6 8.8 자본의증감 339 1,485 1,007 -8 EBITDA이익률 13.1 15.9 18.3 18.4 배당금지급 - - - - 부채비율 56.8 64.9 67.6 62.9 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감 -360 298 426 -199 순부채비율 18.2 26.4 28.2 27.0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517 1,156 1,454 1,881 매출채권회전율(x) 5.6 5.7 5.9 5.8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156 1,454 1,881 1,681 재고자산회전율(x) 5.8 6.3 6.6 6.8

자료 : 삼성SDI,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삼성SDI(006400)_2021년 EV 배터리 흑자 전환한다

Page 62: Underweight EM Equity

62

삼성SDI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원)

목표주가

대상시점

괴리율

최근 2년간 투자의견 변동 내역 및 목표주가 추이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 주가대비

2020-05-04 Buy 350,000 1년 1.1% 11.7%

2020-07-08 Buy 490,000 1년 -13.2% -0.4%

2020-09-14 Buy 580,000 1년 -16.9% -2.4%

2020-12-17 Buy 690,000 1년

Compliance notice

당 보고서 공표일 기준으로 해당 기업과 관련하여,

▶ 회사는 해당 종목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금융투자분석사와 그 배우자는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 보고서는 기관투자가 및 제 3자에게 E-mail등을 통하여 사전에 배포된 사실이 없습니다.

▶ 회사는 6개월간 해당 기업의 유가증권 발행과 관련 주관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당 보고서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정원석)

본 분석자료는 투자자의 증권투자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따라서, 본 자료에 의한 투자자의 투자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작성자 및 당사의 허가 없이 전

재, 복사 또는 대여될 수 없습니다. 무단전재 등으로 인한 분쟁발생시 법적 책임이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1. 종목추천 투자등급 (추천일 기준 종가대비 3등급)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추천일 종가대비 해당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2017년 7월 1일부터 적용)

- Buy(매 수):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 Hold(보유): 추천일 종가대비 -15% ~ 15% 내외 등락

- Sell(매도):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2. 산업추천 투자등급 (시가총액기준 산업별 시장비중대비 보유비중의 변화를 추천하는 것임)

- Overweight(비중확대), - Neutral (중립), - Underweight (비중축소)

하이투자증권 투자비율 등급 공시 (2020-09-30 기준)

구분 매수 중립(보유) 매도

투자의견 비율(%) 90.2% 9.8% -

140,000

240,000

340,000

440,000

540,000

640,000

740,000

18/12 19/05 19/10 20/03 20/08

주가(원) 목표주가(원)

Page 63: Underweight EM Equity

63

FY 2019 2020E 2021E 2022E

매출액(십억원) 616 891 1,317 1,925

영업이익(십억원)) 37 61 94 142

순이익(십억원) 34 45 65 106

EPS(원) 1,745 2,179 3,107 5,037

BPS(원) 18,010 19,758 22,849 27,871

PER(배) N/A 72.2 50.7 31.3

PBR(배) N/A 8.0 6.9 5.6

ROE(%) 13.0 11.6 14.6 19.9

배당수익률(%) N/A 0.1 0.1 0.1

EV/EBITDA(배) N/A 41.2 30.1 19.6

주: K-IFRS 연결 요약 재무제표

Buy(Maintain)

목표주가(12M) 190,000원(유지)

종가(2020/12/16) 157,400원

상승여력 20.7%

Stock Indicator

자본금 10십억원

발행주식수 2,104만주

시가총액 3,311십억원

외국인지분율 5.9%

52주 주가 48,050~162,400원

60일평균거래량 274,516주

60일평균거래대금 39.2십억원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9.9 6.4 31.6 219.3

상대수익률 -1.0 1.5 3.8 173.5

Price Trnd

[투자 Point]

■ 내 밑으로 다 집합!

> 가파른 실적 개선세 지속, 이차전지 소재 대장주

- 지난 10월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한 33만대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세

- 4Q20 꾸준한 실적 성장세 전망. 계절적인 영향으로 주요 고객사들의 Non-IT용 원형전지 출하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겠지만 해외 고객사 중심의 NCA 양극재 수요 성장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 최근 Metal

원재료 가격이 상승세 보이고 있다는 점도 동사 매출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 이를 반영한 4Q20 매출액

, 영업이익 각각 2,835억원(YoY: +92%, QoQ: +13%), 204억원(YoY: +1151%, QoQ: +14%) 추정

> 2021년부터 중대형 배터리에 High-nickel 양극재 적용 시작된다

- 주력 고객사인 삼성SDI는 내년 하반기에 지금보다 한 단계 발전된 Gen5 배터리를 출시하면서 에너지 밀

도 향상을 위해 High-nickel NCA 양극재가 적용되며, 실리콘 음극활물질을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 예정.

SK이노베이션도 지금의 NCM811에서 더욱 Nickel 함량이 높아진 NCM9½½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개발을 추진 중

- High-nickel 양극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동사의 중장기적인 수혜 예상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0.98

1.18

1.38

1.58

1.78

1.98

2.18

2.38

2.58

2.78

38.8

58.8

78.8

98.8

118.8

138.8

158.8

178.8

Dec Feb Apr Jun Aug Oct Dec

에코프로비엠

Price(좌) Price Rel. To KOSDAQ

000'S

(2019/12/16~2020/12/16)

Page 64: Underweight EM Equity

64

2018 2019 2020F 2021F 2022F 비고

EPS (원) 2,345 1,745 2,179 3,107 5,037

BPS (원) 9,880 18,010 19,758 22,849 27,871

고점 P/E (배) 41.8 74.5 - - 최근 2년간 평균: 58.2

평균 P/E (배) 32.6 48.8 - - 최근 2년간 평균: 42.0

저점 P/E (배) 25.9 22.9 - - 최근 2년간 평균: 24.4

고점 P/B (배) 4.1 8.2 - - 최근 2년간 평균: 6.1

평균 P/B (배) 3.2 5.4 - - 최근 2년간 평균: 4.3

저점 P/B (배) 2.5 2.5 - - 최근 2년간 평균: 2.5

ROE 26.7% 13.0% 11.6% 14.6% 19.9%

Target P/E (배) 1,745 2,179 3,107 5,037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종 평균과 동사 고점 P/E 배수 중간값 적용 적용 EPS (원) = 21년 62.4 62.4

적정주가 (원) 141,119 193,752

목표주가 (원) 190,000 21년 예상 실적 기준 P/E 61.2배, P/B 8.3배

전일 종가 (원) 157,400 21년 예상 실적 기준 P/E 50.7배, P/B 6.9배

상승 여력 20.7%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표1. 에코프로비엠 Valuation table

자료: 하이투자증권

>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 동사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내년부터 High-nickel 중심의 중대형 배터리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이익 증가와 주가

상승을 동시에 이끌 것으로 전망되는 바 최근 주가 조정을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할 것을 추천

– 내년부터 전방 업체들이 전기차용 배터리에 High-nickel 양극재 도입을 확대하면서 동사의 수혜가 클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한 21년 매출액

과 영업이익은 각각 1.3조원(YoY: +48%), 950억원(YoY: +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증가에 따른 양극활물질 시장의 중장기적인 성장성을 고려해 2024년 동사의 매출 규모가 약 4조원에 달할 수 있다

는 점을 고려할 때 높은 Valuation 배수 적용에 무리가 없다는 판단(매출액 4조원 달성시 예상 P/E 13~14배)

Page 65: Underweight EM Equity

65

표2. 에코프로비엠 분기별 실적 추이 및 전망

자료: 에코프로비엠, 하이투자증권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1. 에코프로비엠 12개월 Forward P/E Chart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2. 에코프로비엠12개월 Forward P/B Chart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단위: 십억원)

1Q20 2Q20 3Q20 4Q20F 1Q21F 2Q21F 3Q21F 4Q21F 2019 2020F 2021F

출하량 가정(t) 6,137 7,215 8,927 9,614 9,548 10,587 12,165 13,886 19,863 31,892 49,930

매출액 168 190 250 284 280 307 345 384 616 891 1,317

NCA Series 112 99 142 164 149 163 181 197 485 517 612

CSG(NCM811) 48 78 97 111 119 130 149 173 108 334 662

기타 8 13 11 9 12 14 15 15 24 41 45

YoY -7% 40% 65% 92% 67% 62% 38% 36% 5% 45% 48%

QoQ 14% 13% 32% 13% -1% 10% 12% 11%

매출원가 149 163 220 249 246 270 303 337 543 781 1,157

매출원가율 89% 86% 88% 88% 88% 88% 88% 88% 88% 88% 88%

매출총이익 19 27 31 34 34 37 42 47 73 110 160

매출총이익률 11% 14% 12% 12% 12% 12% 12% 12% 12% 12% 12%

판매비 및 관리비 10 13 13 14 14 15 16 19 36 49 65

판관비율 6% 7% 5% 5% 5% 5% 5% 5% 6% 6% 5%

영업이익 9 14 18 20 20 22 25 28 37 61 95

영업이익률 5% 7% 7% 7% 7% 7% 7% 7% 6% 7% 7%

YoY -39% 26% 82% 1151% 124% 58% 42% 38% -26% 65% 56%

QoQ 441% 58% 29% 14% -3% 11% 15% 11%

세전이익 10 12 15 19 21 23 23 16 37 61 95

순이익 8 14 15 9 17 18 18 12 34 45 65

순이익률 5% 7% 5% 3% 6% 6% 5% 3% 6% 5% 5%

YoY -20% 0% 54% 789% 104% 31% 29% 30% -6% 32% 44%

QoQ 699% 66% -2% -32% 83% 7% -3% -31%

0

5

10

15

20

25

3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9.04 19.10 20.04 20.10 21.04 21.10

20.0x

30.0x

40.0x

50.0x

60.0x

(원)

영업이익(우)

0%

2%

4%

6%

8%

10%

12%

14%

16%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9.04 19.10 20.04 20.10 21.04 21.10

2.0x

3.5x

5.0x

6.5x

8.0x

(원)

ROE(우)

Page 66: Underweight EM Equity

66

K-IFRS 연결 요약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단위:십억원) 포괄손익계산서 (단위:십억원,%)

2019 2020E 2021E 2022E 2019 2020E 2021E 2022E 유동자산 246 335 445 579 매출액 616 891 1,317 1,925 현금 및 현금성자산 20 43 36 48 증가율(%) 4.6 44.7 47.7 46.2 단기금융자산 - - - - 매출원가 543 781 1,157 1,686 매출채권 65 94 139 203 매출총이익 73 110 160 239 재고자산 159 198 269 328 판매비와관리비 35 48 64 94 비유동자산 405 467 634 633 연구개발비 1 2 2 3 유형자산 377 441 610 611 기타영업수익 - - - - 무형자산 14 12 10 8 기타영업비용 - - - - 자산총계 650 802 1,079 1,212 영업이익 37 61 94 142 유동부채 138 154 166 194 증가율(%) -26.3 64.6 53.9 51.5 매입채무 63 76 90 117 영업이익률(%) 6.0 6.8 7.1 7.4 단기차입금 57 57 57 57 이자수익 1 1 1 1 유동성장기부채 16 17 17 17 이자비용 4 6 11 10 비유동부채 142 232 432 432 지분법이익(손실) - - - - 사채 - - - - 기타영업외손익 -4 -2 -2 -2 장기차입금 134 224 424 424 세전계속사업이익 28 56 83 132 부채총계 280 387 599 626 법인세비용 -6 11 17 26 지배주주지분 370 416 481 586 세전계속이익률(%) 4.6 6.3 6.3 6.9 자본금 10 11 11 11 당기순이익 34 45 65 106 자본잉여금 271 271 271 271 순이익률(%) 5.6 5.1 5.0 5.5 이익잉여금 93 135 198 300 지배주주귀속 순이익 34 45 65 106 기타자본항목 -4 -4 -4 -4 기타포괄이익 3 3 3 3 비지배주주지분 - - - - 총포괄이익 37 48 68 109 자본총계 370 416 481 586 지배주주귀속총포괄이익 37 48 68 109 현금흐름표 (단위:십억원) 주요투자지표

2019 2020E 2021E 2022E 2019 2020E 2021E 2022E 영업활동 현금흐름 13 26 -1 66 주당지표(원) 당기순이익 34 45 65 106 EPS 1,745 2,179 3,107 5,037 유형자산감가상각비 27 25 31 49 BPS 18,010 19,758 22,849 27,871 무형자산상각비 0 0 0 0 CFPS 3,106 3,399 4,603 7,377 지분법관련손실(이익) - - - - DPS 150 150 150 150 투자활동 현금흐름 -182 -89 -199 -49 Valuation(배) 유형자산의 처분(취득) -182 -90 -200 -50 PER 72.2 50.7 31.3 무형자산의 처분(취득) 1 - - - PBR 8.0 6.9 5.6 금융상품의 증감 10 23 -6 11 PCR 46.3 34.2 21.3 재무활동 현금흐름 180 87 195 -4 EV/EBITDA #VALUE! 41.2 30.1 19.6 단기금융부채의증감 1 - - - Key Financial Ratio(%) 장기금융부채의증감 1 - - - ROE 13.0 11.6 14.6 19.9 자본의증감 44 90 200 - EBITDA이익률 10.4 9.7 9.5 10.0 배당금지급 - - - - 부채비율 75.7 93.0 124.5 106.8 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감 11 23 -6 11 순부채비율 50.4 61.4 95.9 76.7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0 20 43 36 매출채권회전율(x) 9.7 11.2 11.3 11.3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0 43 36 48 재고자산회전율(x) 4.1 5.0 5.6 6.5

자료: 에코프로비엠,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에코프로비엠(247540)_내 밑으로 다 집합!

Page 67: Underweight EM Equity

67

에코프로비엠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원)

목표주가

대상시점

괴리율

최근 2년간 투자의견 변동 내역 및 목표주가 추이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 주가대비

2019-05-29 Buy 80,000 1년 -29.8% -16.3%

2019-10-28 Buy 70,000 1년 -12.3% 30.9%

2020-03-16 Buy 100,000 1년 -6.8% 37.3%

2020-07-08 Buy 160,000 1년 -13.5% -4.4%

2020-08-06 Buy 190,000 1년

Compliance notice

당 보고서 공표일 기준으로 해당 기업과 관련하여,

▶ 회사는 해당 종목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금융투자분석사와 그 배우자는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 보고서는 기관투자가 및 제 3자에게 E-mail등을 통하여 사전에 배포된 사실이 없습니다.

▶ 회사는 6개월간 해당 기업의 유가증권 발행과 관련 주관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당 보고서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정원석)

본 분석자료는 투자자의 증권투자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따라서, 본 자료에 의한 투자자의 투자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작성자 및 당사의 허가 없이 전

재, 복사 또는 대여될 수 없습니다. 무단전재 등으로 인한 분쟁발생시 법적 책임이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1. 종목추천 투자등급 (추천일 기준 종가대비 3등급)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추천일 종가대비 해당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2017년 7월 1일부터 적용)

- Buy(매 수):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 Hold(보유): 추천일 종가대비 -15% ~ 15% 내외 등락

- Sell(매도):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2. 산업추천 투자등급 (시가총액기준 산업별 시장비중대비 보유비중의 변화를 추천하는 것임)

- Overweight(비중확대), - Neutral (중립), - Underweight (비중축소)

하이투자증권 투자비율 등급 공시 (2020-09-30 기준)

구분 매수 중립(보유) 매도

투자의견 비율(%) 90.2% 9.8% -

36,000

56,000

76,000

96,000

116,000

136,000

156,000

176,000

196,000

216,000

19/03 19/08 20/01 20/06 20/11

주가(원) 목표주가(원)

Page 68: Underweight EM Equity

68

FY 2019 2020E 2021E 2022E

매출액(십억원) 588 619 721 800

영업이익(십억원)) 111 149 199 220

순이익(십억원) 86 130 160 181

EPS(원) 7,655 11,489 14,122 16,007

BPS(원) 39,713 49,316 61,552 75,673

PER(배) 14.0 15,0 12.2 10.7

PBR(배) 2.7 3.5 2.8 2.3

ROE(%) 20.9 25.8 25.5 23.3

배당수익률(%) 1.4 0.9 0.9 0.9

EV/EBITDA(배) 9.3 10.5 7.8 6.6

주: K-IFRS 연결 요약 재무제표

Buy(Maintain)

목표주가(12M) 210,000원(유지)

종가(2020/12/16) 172,000원

상승여력 22.1%

Stock Indicator

자본금 56십억원

발행주식수 1,130만주

시가총액 1,943십억원

외국인지분율 36.9%

52주 주가 66,200~177,000원

60일평균거래량 68,819주

60일평균거래대금 10.6십억원

주가수익률(%) 1M 3M 6M 12M

절대수익률 -0.6 16.2 52.2 73.6

상대수익률 -9.6 2.4 22.6 45.7

Price Trnd

[투자 Point]

■ 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 2021년 영업이익 1,993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 전망

- 2021년 가파른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주력 사업인 반도체 Chemical 소재

출하는 삼성전자 P2, 시안, SK하이닉스 M16 라인 가동 효과로 견조한 흐름

- 또한 삼성전자가 21년 Mini LED TV 출하량 200~300만대를 목표로 신제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어 동

사 QD 소재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

- COVID-19 사태 이후 각국 정부들이 경기부양 대책 일환으로 그린뉴딜 기조를 강조하며 전기차 시장 확

대를 위한 지원 정책 전략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이차전지용 Binder

매출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21년 영업이익 비중이 10%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도 고무적

- 연결 자회사인 테이팩스가 OCA, 이차전지 Tape 등의 판매 확대로 뚜렷한 매출 증가와 이익 개선세가 나

타내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

- 이를 반영한 21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210억원(YoY: +16%), 영업이익 1,993억원(YoY:

+34%)를 기록하며 국내 반도체 Chemical 소재 업종 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0.93

1.03

1.13

1.23

1.33

1.43

1.53

1.63

1.73

53.0

73.0

93.0

113.0

133.0

153.0

173.0

193.0

Dec Feb Apr Jun Aug Oct Dec

한솔케미칼

Price(좌) Price Rel. To KOSPI

000'S

(2019/12/16~2020/12/16)

Page 69: Underweight EM Equity

69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F 2021F

EPS (원) 3,023 4,942 4,804 6,238 7,655 11,489 14,122

BPS (원) 21,427 24,998 28,396 33,624 39,713 49,316 61,552

고점 P/E (배) 25.8 19.1 18.0 12.5 11.2 13.7 지난 5년간 평균: 14.9

평균 P/E (배) 17.4 15.6 13.9 10.9 9.0 9.8 지난 5년간 평균: 11.8

저점 P/E (배) 11.1 10.6 11.4 9.7 7.6 5.5 지난 5년간 평균: 9.0

고점 P/B (배) 4.4 3.4 3.1 2.3 2.2 3.2 지난 5년간 평균: 2.8

평균 P/B (배) 3.0 2.8 2.5 2.1 1.9 2.3 지난 5년간 평균: 2.3

저점 P/B (배) 1.9 2.1 2.1 1.9 1.7 1.3 지난 5년간 평균: 1.8

ROE 15.0% 21.3% 18.0% 20.1% 20.9% 25.8% 25.5%

Target P/E (배) 14.9 14.9 지난 5년간 P/E 배수 중상단

적용 EPS (원) = 21년 11,489 14,122

적정주가 (원) 171,121 210,337

목표주가 (원) 210,000 21년 실적 기준 P/E 14.9배

전일 종가 (원) 172,000 21년 실적 기준 P/E 12.2배

상승 여력 22.1%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표1. 한솔케미칼 Valuation table

자료: 하이투자증권

>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 동사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목표주가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소재 사업 다각화로 중장기 신규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점

을 고려해 21년 예상 EPS에 지난 5년간 고점 P/E 평균값인 14.9배를 적용해 산출

– 최근 동사는 지속 성장을 위해 이차전지 사업을 적극적으로 강화. 특히 2022년부터 삼성SDI와 함께 실리콘 음극활물질 본격 양산 계획 중.

향후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으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동사 음극재/분리막용 Binder와 실리콘 음극활물질 매출 비중이 빠르게

확대될 경우 주가에 반영될 Valuation 배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

– 21년에도 높은 실적 성장세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동종 업종 내에서도 Valuation 매력도

가 높은 동사에 대한 비중 확대 전략을 추천

Page 70: Underweight EM Equity

70

표2. 한솔케미칼 분기별 실적 추이 및 전망

자료: 한솔케미칼, 하이투자증권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1. 한솔케미칼 12개월 Forward P/E Chart

자료: 하이투자증권

그림2. 한솔케미칼 12개월 Forward P/B Chart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단위: 십억원)

1Q20 2Q20 3Q20 4Q20F 1Q21F 2Q21F 3Q21F 4Q21F 2019 2020F 2021F

매출액 147 149 165 159 168 174 191 188 588 619 721

과산화수소 44 46 50 49 50 54 59 55 173 189 218

Precursor 13 15 16 16 17 15 16 26 41 60 74

전자재료 19 21 24 20 25 26 29 26 64 84 106

기타 및 연결 법인 70 67 75 74 76 79 87 82 310 289 324

YoY 2% 1% 7% 11% 14% 17% 16% 19% 1% 5% 16%

QoQ 2% 1% 11% -3% 6% 4% 10% -1% - - -

매출원가 98 97 99 111 103 105 113 127 412 406 447

매출원가율 67% 65% 60% 70% 62% 60% 59% 67% 70% 66% 62%

매출총이익 48 52 65 47 65 69 78 62 176 213 274

매출총이익률 33% 35% 40% 30% 38% 40% 41% 33% 30% 34% 38%

판매비 및 관리비 13 13 14 24 15 17 27 17 64 65 75

판관비율 9% 9% 8% 15% 9% 9% 14% 9% 11% 10% 10%

영업이익 35 39 51 23 49 54 61 35 111 149 199

영업이익률 24% 26% 31% 15% 29% 31% 32% 18% 19% 24% 28%

YoY 25% 24% 47% 36% 40% 39% 20% 49% 19% 33% 34%

QoQ 104% 10% 33% -54% 111% 9% 14% -43% - - -

세전이익 48 42 54 25 53 57 65 38 118 169 213

순이익 35 32 42 21 41 45 52 26 91 130 164

순이익률 24% 22% 26% 13% 25% 26% 27% 14% 15% 21% 23%

YoY 49% 25% 52% 49% 17% 38% 24% 25% 34% 43% 26%

QoQ 154% -8% 30% -51% 99% 9% 17% -51% - - -

0

10

20

30

40

50

60

7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7.0x

11.0x

15.0x

19.0x

23.0x

(원)

영업이익 (우)

(십억원)

0%

5%

10%

15%

20%

25%

3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0x

2.0x

3.0x

4.0x

5.0x

(원)

ROE (우)

Page 71: Underweight EM Equity

71

K-IFRS 연결 요약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단위:십억원) 포괄손익계산서 (단위:십억원,%)

2019 2020E 2021E 2022E 2019 2020E 2021E 2022E 유동자산 307 318 457 584 매출액 588 619 721 800 현금 및 현금성자산 57 58 178 282 증가율(%) 1.0 5.3 16.5 10.9 단기금융자산 92 96 92 96 매출원가 412 406 447 497 매출채권 75 79 92 102 매출총이익 176 213 274 302 재고자산 61 62 74 81 판매비와관리비 64 64 74 82 비유동자산 632 641 645 650 연구개발비 0 0 0 0 유형자산 494 502 509 516 기타영업수익 - - - - 무형자산 68 66 64 63 기타영업비용 - - - - 자산총계 939 959 1,102 1,234 영업이익 111 149 199 220 유동부채 194 155 180 175 증가율(%) 19.1 33.3 34.1 10.4 매입채무 60 63 67 73 영업이익률(%) 19.0 24.0 27.6 27.5 단기차입금 23 23 23 23 이자수익 2 5 6 10 유동성장기부채 93 50 72 61 이자비용 10 8 7 6 비유동부채 224 174 149 124 지분법이익(손실) 10 9 10 10 사채 184 134 109 84 기타영업외손익 2 13 3 3 장기차입금 17 17 17 17 세전계속사업이익 118 169 213 239 부채총계 419 329 329 299 법인세비용 27 39 49 55 지배주주지분 449 557 695 855 세전계속이익률(%) 20.1 27.4 29.5 29.8 자본금 56 56 56 56 당기순이익 91 130 164 184 자본잉여금 31 31 31 31 순이익률(%) 15.5 21.1 22.8 23.0 이익잉여금 372 485 628 792 지배주주귀속 순이익 86 130 160 181 기타자본항목 -1 -1 -1 -1 기타포괄이익 -5 -5 -5 -5 비지배주주지분 72 73 77 80 총포괄이익 86 126 159 179 자본총계 521 630 772 935 지배주주귀속총포괄이익 82 125 155 176 현금흐름표 (단위:십억원) 주요투자지표

2019 2020E 2021E 2022E 2019 2020E 2021E 2022E 영업활동 현금흐름 102 180 197 224 주당지표(원) 당기순이익 91 130 164 184 EPS 7,655 11,489 14,122 16,007 유형자산감가상각비 36 42 43 44 BPS 39,713 49,316 61,552 75,673 무형자산상각비 1 1 1 1 CFPS 10,899 15,265 18,033 19,937 지분법관련손실(이익) 10 9 10 10 DPS 1,500 1,500 1,500 1,500 투자활동 현금흐름 -140 -39 -27 -38 Valuation(배) 유형자산의 처분(취득) -71 -50 -50 -50 PER 14.0 15.0 12.2 10.7 무형자산의 처분(취득) 0 - - - PBR 2.7 3.5 2.8 2.3 금융상품의 증감 127 5 115 109 PCR 9.9 11.3 9.5 8.6 재무활동 현금흐름 81 -111 -22 -54 EV/EBITDA 9.3 10.5 7.8 6.6 단기금융부채의증감 1 - - - Key Financial Ratio(%) 장기금융부채의증감 2 - - - ROE 20.9 25.8 25.5 23.3 자본의증감 45 -50 -25 -25 EBITDA이익률 25.2 30.9 33.8 33.1 배당금지급 - - - - 부채비율 80.4 52.2 42.6 32.0 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감 43 1 120 104 순부채비율 32.6 11.3 -6.2 -20.5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4 57 58 178 매출채권회전율(x) 7.8 8.0 8.4 8.2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57 58 178 282 재고자산회전율(x) 10.1 10.1 10.7 10.4

자료:한솔케미칼,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한솔케미칼(014680)_이차전지 소재가 쑥쑥 자란다

Page 72: Underweight EM Equity

72

한솔케미칼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원)

목표주가

대상시점

괴리율

최근 2년간 투자의견 변동 내역 및 목표주가 추이 평균주가대비 최고(최저) 주가대비

2019-11-18 Buy 125,000 1년 -19.6% -5.2%

2020-03-25 Buy 110,000 1년 -19.8% 4.5%

2020-06-05 Buy 140,000 1년 -11.4% -3.2%

2020-07-08 Buy 170,000 1년 -9.3% 4.1%

2020-08-18 Buy 200,000 1년 -25.0% -17.8%

2020-11-12 Buy 210,000 1년

Compliance notice

당 보고서 공표일 기준으로 해당 기업과 관련하여,

▶ 회사는 해당 종목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금융투자분석사와 그 배우자는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 보고서는 기관투자가 및 제 3자에게 E-mail등을 통하여 사전에 배포된 사실이 없습니다.

▶ 회사는 6개월간 해당 기업의 유가증권 발행과 관련 주관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당 보고서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정원석)

본 분석자료는 투자자의 증권투자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따라서, 본 자료에 의한 투자자의 투자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작성자 및 당사의 허가 없이 전

재, 복사 또는 대여될 수 없습니다. 무단전재 등으로 인한 분쟁발생시 법적 책임이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1. 종목추천 투자등급 (추천일 기준 종가대비 3등급)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추천일 종가대비 해당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2017년 7월 1일부터 적용)

- Buy(매 수):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 Hold(보유): 추천일 종가대비 -15% ~ 15% 내외 등락

- Sell(매도):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2. 산업추천 투자등급 (시가총액기준 산업별 시장비중대비 보유비중의 변화를 추천하는 것임)

- Overweight(비중확대), - Neutral (중립), - Underweight (비중축소)

하이투자증권 투자비율 등급 공시 (2020-09-30 기준)

구분 매수 중립(보유) 매도

투자의견 비율(%) 90.2% 9.8% -

52,000

72,000

92,000

112,000

132,000

152,000

172,000

192,000

212,000

232,000

18/12 19/05 19/10 20/03 20/08

주가(원) 목표주가(원)